earticle

논문검색

공주 영은사 아미타후불탱화의 미술사적 특징과 채색 안료의 과학적 분석 연구

원문정보

Scientific Analysis of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Painting Pigments of Amitabna Buddha Painting in Gongju Yeongeunsa Temple

이장존, 김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ongju Yeonggeunsa Temple’s Amitabha buddha painting was created in 1888 with the participation of Geumhodang Yakhyo, a member of the Gyeryongsan sect, as a leading monk painter, and Sangok as a participating monk painter temple. In this work, since the Inscriptions (Hwagi) remains intact, various information can be found, such as how the discord was created, the place of enshrinement, and the quality of softening and giving. In this Buddhist painting, you can see the various aspects of the Buddhist painting created by medicinal effects, and at the same time. The painting style of the period when Yakhyo established his own unique painting style as a leading monk painter is clearly revealed, so it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the Buddhist painting in the Chungcheong region in the 19th century. As for the types of damage, the darkening phenomenon of the upper part of the work, pigment exfoliation, whitening of blue pigment, damage to edges due to physical impact, and browning of the base material due to green pigment are observed. The black contaminants that cause blackening, the biggest damage to the work, are carbon-based, and as the outside wind flows into Wontongjeon, soot from candles is adsorbed toward the top of the buddha painting, causing blacke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painting pigments, white lead was used as a white pigment, Meok (inkstick) was used as a black pigment. The red pigment was used by mixing cinnabar and mimium, or cinnabar was used alone. Yellow pigment was used with orpiment, gold leaf, and organic pigments. Green pigment was used with the copper chloride (Hayeob) and chrome green and emerald green, blue pigment was used ultramarine blue.

한국어

공주 영은사의 아미타후불탱화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376호로 1888년에 계룡산파의 금호당 약효가 수화승으로 참여하고, 상옥이 동참화사로 참여하여 조성하였다. 이 불화는 약효가 조성한 불화의 다양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음과 동시에, 약효가 수화사로서 본인만의 독특한 화풍을 정립하던 시기의 화풍이 잘 드러나 있어 19세기 충청지역 불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영은사 아미타후불탱화의 손상유형은 작품의 상부의 흑변 현상과 안료 박락, 청색 안료의 백색화, 물리적 충격에 의한 모서리 손상, 녹색 안료에 의한 바탕재 갈변 현상 등이 관찰된다. 작품의 가장 큰 손상인 흑변을 일으키는 흑색 오염물은 탄소가 주성분으로 이는 외부의 바람이 원통전으로 유입되면서 양초의 그을음이 불화 상부 쪽으로 흡착되어 흑변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채색 안료 분석 결과를 보면 백색 안료는 연백과 활석을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흑색은 먹을 사용하였다. 적색 안료는 진사와 연단을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진사를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황색 안료는 석황과 금박, 유기염료를 사용하였다. 녹색 안료는 염화동의 하엽과 근래에 보채한 크롬그린, 양록을 사용하였으며, 청색 안료는 군청을 사용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II. 인문학적 연구
1. 공주 영은사 연혁
2. 공주 영은사 아미타후불탱화 도상과 앙식
3. 조성화원
III. 과학적 분석
1. 생태 조사
2. 안료 분석
IV. 고찰 및 분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장존 Lee, Jang-Jon. 하이문화케어 팀장
  • 김정희 Kim, Jung-Hee. 원광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