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explore the meaning of experience,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hotel workers who are pursuing a doctoral course as both work and stud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hotel workers working in a 5-star hote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and Moustakas' Stevick-Colaizzi-Keen method was appli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15 theme, 54 meaning units, and 398 significant statements.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earning includes ‘the energetic time together’, ‘learning, as a thirsty’, ‘my own goal of leading me’, ‘leap to a true expert’, ‘getting older, getting more anxious’, ‘support is the source of my strength’ six themes were derived. Experienced difficulties were derived from ‘struggling for compatibility’, ‘frustrated and unfortunate graduate classes’, ‘a stiff brain, hard time about writing thesis’, ‘myself of longterm investments’, and ‘walk on eggshells around someon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ur themes of experiences ‘a new me’, ‘the power of my life’, ‘I am an Influencer’, ‘my own path to take a step and a step by step’ were deri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in-depth the experience of hotel workers' doctoral course experienc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and experience of difficulties, and suggests improvement plans in the hotel industry based on the resul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일과 학업으로써 박사과정을 병행하고 있는 호텔종사자의 경험의 의미와, 학습 참여 동기, 경험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5성급 호텔에서 근무하는 호텔종사자를 대상으로 현상학 연구방법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연구자는 참여자들에게 개방형 및 반구조화 질문과 주제별로 분류한 하위 질문을 토대로 총 6명의 참여자들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현상학 연구방법론 중에 하나인 Moustakas의 Stevick-Colaizzi-Keen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총 15개의 주제, 54개의 의미단위, 398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도출되었다. 분석결과 학습 참여 동기로는 ‘더불어 함께하는 활력 넘치는 시간’, ‘배움, 타는 목마름으로’, ‘나를 이끄는 나만의 목표’, ‘진정한 전문가로 도약’, ‘점점 차오르는 나이, 점점 차오르는 불안감’, ‘응원은 내 힘의 원천’ 으로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경험한 어려움은 ‘양립을 위한 고군분투’, ‘답답하고 아쉬운 대학원 수업’, ‘굳어버린 머리, 막막한 논문’, ‘장기투자 종목의 나 자신’, ‘여기저기 눈치 보기’로 5가지 주제가 도출 되었다. 경험의 의미는 ‘새로운 나, 새로울 나’, ‘내 삶의 원동력’, ‘나는 인플루언서’, ‘한 걸음, 한 걸음 내 딛는 나만의 길’의 4가지 주제가 도출 되었다. 본 연구는 호텔종사자의 박사과정 경험을 학습 참여 동기 경험과 어려움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호텔 산업에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고찰
1. 학습참여 동기이론
2. 박사과정의 학습 장애요인
III. 연구방법
1. 무스타카스(Moustakas)의 심리학적 현상학
2. 연구 참여자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5. 연구의 신뢰성 및 윤리적 고려
IV. 연구 결과
1. 박사과정 학습 참여 동기
2. 경험한 어려움
3. 호텔종사자의 박사과정 경험의 의미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