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有我之境의 관점으로 바라본 八大山人 작품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Works of Bada Shanren (八大山人) from the Perspective of ‘YouWoZhiJing’ (有我之境)

유아지경의 관점으로 바라본 팔대산인 작품연구

박한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da Shanren is a representative Ming loyalist painter (遺民畫家) who expressed his resentment and indignation at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in his works of art in the midst of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chaos of the late Ming Dynasty and early Qing Dynasty. ‘Yijing’ (意境) is a concept that began to emerge in the process of breaking away from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art in terms of social efficacy and enhancing it as a means of elevating the spirit of an individual. As the implication of ‘yijing’ deepened, artists emphasized that the subject and the object should be able to unite in the state of ‘xujing’ (虛靜), and they set the main goal of art to attain the essential value of existence by reaching a transcendental state. Therefore, it has become important for artists to express their realization of what is called a fundamental principle such as the ‘Tao’ (道) through artistic forms rather than representing the joys and sorrows of life felt by the aesthetic subject. This can be understood less by explicitly exhibiting one’s emotions, than in the state of ‘WuWoZhiJing’ (無我之境), where the subject and the object are united and transcend the subject. However,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the individual self due to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made it possible to achieve ‘YouWoZhiJing’ (有我之境), which explicitly exposes the subjectivity of the artist. After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Yangmingism (陽明學), which claimed that “the principl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is already inherent in the human mind” (心卽理), provided a philosophical background to actively reveal the aesthetic subject by opening the way for emphasizing the individuality of an artist. Against this background, the artist was able to actively express various emotions inherent in his heart. Through art, Bada Shanren expressed his resentment at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and indignation over those who defected from the dynasty. The diminutive and bizarre shapes of flowers, fish, birds, and grass, which are the main subject-matters of his works, overtly represent emotions by identifying the artist himself with the ob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YouWoZhiJing’. The brushstrokes and the use of ink in his paintings also show his attempts to fully capture the trembling of the heart and private emotions. As a Ming loyalist painter, he had to face a violent reality. He expressed resentment, indignation, and hostility by aligning himself with the objects in his works, and then choosing an artistic style that explicitly exposes the aesthetic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YouWoZhiJing’. This can be regarded as a model that reminds us once again that the source of creation lies in the artist in a society where ideas and rules limit distinctive individuality.

한국어

팔대산인은 명말·청초 혼란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망국의 억울함과 분노를 예술 창작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유민화가(遺民畫家)이다. 의경(意境)은 예술을 사회 효능론의 관점에서 접근하던 것으로부터 개인의 정 신을 고양하는 수단으로 격상하는 과정에서 부각되기 시작한 개념이다. 의경의 함의가 깊어지자 예술가는 허정(虛靜)한 상태로 주체와 대상이 합일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했 고, 초월적인 지경으로 나아가 본질적인 가치를 획득하는 것을 예술의 주요한 목표로 삼았다. 따라서 예술가에게 심미 주체가 느끼는 희로애락의 감정보다 도(道)와 같이 근원적인 원리라 칭해지는 것들에 관한 깨달음을 예술 형식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 중 요해졌다. 이는 개인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것보다 주체와 대상이 합일되어 주체를 초월하는 무아지경(無我之境)의 경지에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명·청대 사상적 배경으로 인한 자아의 역할 확대는 예술가의 주체성을 적 극적으로 드러내는 유아지경(有我之境)의 경지를 가능하게 했다. 명조의 멸망 이후 마 음 안에 우주 만물의 이치가 이미 내재해 있다[심즉리(心卽理)]의 양명학은 예술가의 개체성을 강조할 수 있게 하여 심미 주체를 적극적으로 발현할 수 있게 하는 사상적 배 경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예술가는 마음속에 내재한 다양한 감정들을 적극적 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팔대산인은 망국의 한과 변절자들을 향한 분노의 감정을 예술 창작으로 표현하 였다. 그의 작품에 주로 등장하는 소재인 꽃, 물고기, 새, 풀에서 보이는 왜소하고 기 괴한 형상에는 유아지경의 자세로 자신과 대상을 동일시하며 감정을 적극적으로 담아 내는 모습이 나타난다. 화면에서 보이는 필법(筆法)과 묵법(墨法)에서도 심적 떨림과 호흡을 온전히 담아내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그는 유민화가라는 신분 속에서 폭력적인 현실을 감당해야만 했고, 스스로를 작 품 속의 대상과 일치시킨 후, 유아지경의 자세로 심미주체를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예 술형식을 선택함으로써 울분과 분노, 적개심을 표현하였다. 이는 사상과 규율이 개인 의 특수성을 제한하는 사회에서 창작의 근원이 예술가에게 있음을 다시 한 번 상기시 키는 모범을 보여줬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論
Ⅱ. 有我之境의 형성 배경과 미학적 연관성
1. 유아지경 개념의 형성배경
2. 유아지경의 미학적 해석
Ⅲ. 八大山人회화의 미학적 분석
1. 팔대산인의 생애와 예술적 배경
2. 유아지경으로 본 팔대산인 회화의 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한샘 Park, Han Saem. 홍익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