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What Pak Chiwŏn Missed : Tall Tales of the Panchen Lama at Qing Chengde in 1780

원문정보

연암 박지원이 간과한 점 : 1780년 청 열하에서 접한 판첸 라마 관련 풍문(風聞)

YOON, Sungoh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ak Chiwŏn’s brush talks with the Qing literati documented in his celebrated travelogue, Yŏrha Ilgi or Jehol Diary, written after his trip to Qing Chengde in 1780 serves not only as a window on particular episodes that took place during important events, but also a wealth of information on Qing society, culture, and, more important, its people’s ideas, understanding, and perspectives on the overall socio-political issues from ethnic discrimination against the Han Chinese to literary inquisition, a severe censorship on writings. This essay focuses on brush talks concerning Tibetan Buddhism and aims to make sense of the Qing literati’s narratives about the Panchen Lama and what Pak Chiwŏn failed to see. A closer look into the brush talks reveals that the Qing subjects from other parts of the empire outside of the Tibetan region were fixated to their own misunderstanding and imaginations on what Tibetan Buddhism could be which they had forged by squeezing it into the framework of existing discourses in their regions of residence. However, considering the autonomy exercised by the Qing constituents in buying into such narratives about the Tibetan Buddhism and the Lama, it is worth noting that they were making sense of the Qing emperor’s action on their own terms as his constituents. In this essay, I argue that what Pak Chiwŏn missed when he entertained rumor, myth, legend, and tall tale about the Panchen Lama was that the Qing literati had already made a central space for the Qing emperor in their moral universe.

한국어

연암 박지원이 1780년 중국 청조의 열하를 방문한 후 쓴 것으로 이미 널리 알려진 기행문인 『열하일기』에는 그가 청나라 문인들과 나눴던 필담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는 주요 사건 때마다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발생했던 에피소드를 엿볼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해준다. 또한, 한 인에 대한 차별와 ‘문자의 옥’은 물론 사회·정치적 문제 전반에 대한 청인들의 생각과 이해 그리 고 관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당시 청조 사회와 문화에 대한 풍부한 정보도 제공해 주는 중요한 문헌입니다. 본고는 티베트 불교에 관한 필담에 초점을 맞추고 판첸 라마에 대한 청문인들의 서술과 박지원이 간과했던 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필담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티베트 지역이 아닌 청제국의 다른 지역에서 온 문인들은 티베트 불교에 대한 오해와 근거 없는 사 실에 경도된 나머지 티베트 불교와 판첸 라마에 대해 객관적으로 접근하고 알려고 하지 않았다. 그들은 단지 자신들에게 익숙한 사유체계와 인식의 틀에 끼워 맞춰 티베트불교와 판첸라마를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그들의 존재를 임의로 ‘구성’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티베트불교와 라마 에 대한 이러한 허구적인 서사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청인들은 타율에 의해서가 아닌 스스로 자율성을 행사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그들은 청 황제의 신민으로서 그의 행동을 나름 대로 이해하고자 했으며 실제로 그러고 있었다는 점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 필자는 박지원이 판첸 라마에 대한 소문, 신화, 전설, 설화를 접하면서 미처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청 문 인들이 이미 청 황제를 그들의 ‘도덕적 성찰과 실천의 영역’의 중심부에 위치시켜 그를 하나의 지표 즉, 기준점으로 삼고 있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The Significance of Chengde in the Qing Empire
Ⅲ. The Significance of the Chosŏn Embassy’s Visit to Chengde in 1780
Ⅳ. The Encounter between the Chosŏn Emissaries and the Panchen Lama
Ⅴ. Pak Chiwŏn and the 1780 Chosŏn Embassy to Chengde
Ⅵ. Pak Chiwŏn’s Brush Talks at Chengde: Qing Subjects’ Imagination of Tibetan Buddhism
Ⅶ.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저자정보

  • YOON, Sungoh 윤성오. Hanyang University GSIS, Lecture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