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문화 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Impact of Positive Maternal Parent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김성수, 안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positive maternal parenting, social support, social withdrawal,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is study, panel data from the 6th year (2016)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tilized.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1,135 3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mothers were from China, Japan, or the Philippine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erceived positive maternal parenting, social support, social withdrawal, and life satisfaction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Students raised by Filipino mothers perceiv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raised by Japanese mothers. Positive maternal parenting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direct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nd indirect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through social withdrawal.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for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that specifically target multicultural mothers, with the aim of enha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지각한 어머니의 긍정적 양 육태도, 사회적 지지, 사회적 위축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6차년도(2016년) 다문화 가정 청소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머니의 출신 국적이 중국, 일본 혹은 필리핀인 중학교 3학년 학생 총 1,135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이 지각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학생의 사회적 위축 및 삶의 만족도 간의 유의 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필리핀 출신 어머니로부터 양육된 학생이 일본 출 신 어머니로부터 양육된 학생에 비해 삶의 만족도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또한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사회적 위축을 거쳐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 을 끼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문화 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위축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2. 긍정적인 양육태도와 사회적 위축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3.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위축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4. 어머니 출신 국적에 따른 긍정적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자녀의 사회적 위축 및 삶의 만족도의 차이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변인 간 상관관계
2. 어머니의 출신 국적에 따른 변인 차이
3. 연구모형 검증
4. 매개효과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1. 변인 간 상호관련성
2. 어머니의 출신 국적에 따른 차이
3. 연구모형 및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4.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성수 JIN, CHENGSHUAI.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석사과정
  • 안도희 Ahn, Doehee.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