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시민성 교육으로서 민주적 체육수업을 위한 제언

원문정보

The Studies about Democratic Physical Education as Citizenship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김동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sit the meaning of the democratic physical education class proposed by the author as an aspect of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physical education several years ago. The function of schools is not limited to education. School includes not only education, but also various life world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cademics, art, and sports. are in charge. On the other hand, citizenship constitutes a spectrum of human nature, and has differences from concepts that have been argued in the discourse on character education. One of the commonalities between character and citizenship is that it is humanity defined by necessity in the community, but the former i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individual personality, and the latter emphasizes moral obligations in the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 On the other hand, one of the other aspects of citizenship is the right as a member of a community represented by citizenship, and among them, it is argued that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right to participate in students is needed. The start of citizenship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egins with democracy in the classroom,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democracy in the classroom does not force specific civic qualities, but experiences democracy itself. Referring to the democratic lifestyle suggested by Apple & Beane (2015), the researcher suggested six specific action directions for democratic physical education class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시민성 교육으로서 민주적 체육수업의 필요성과 실천 방향을 제언 하는데 있다. 학교의 기능은 교육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학교는 교육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학문, 예술, 체육 등 다양한 생 활세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공동체적 의미에서 볼 때 학교는 학생들을 우리 사회의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 시민으로 성장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시민성은 인간성의 한 스펙트럼을 구성하고 있지만, 그간 인성교 육 담론에서 주장되어 온 인성 개념과는 차이점이 있다. 인성과 시민성의 공통점 중 하나는 공동체에서 필요에 의해 규정된 인간성이라는 점이지만, 전자는 개인적 인격 형성과 관련되고, 후자는 정치사회 구조 속에서의 도덕적 의무 를 강조한다. 한편, 시민성의 개념을 구성하는 또 다른 측면 중 하나는 시민권으로 대변되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권리 이며, 특히, 공동체의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참여권’에 대한 비판적 감식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체육수 업에서 시민성 교육의 출발은 교실 속 민주주의에서 시작되며, 교실 속 민주주의는 특정한 시민적 자질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경험하며 그 자체를 체험하는 것으로 이해할 필요 있다. 연구자는 Apple & Beane(2015) 이 제언한 민주적 생활 방식을 참조하여 민주적 체육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향을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왜 ‘시민성’ 교육인가?
1. 학교의 사회적 기능
2. 인간성의 스펙트럼
3. 시민성의 또 다른 측면
Ⅲ. 체육수업에서의 시민성 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
1. 시민성 교육의 실천으로서 민주적 체육수업
2. 민주적 체육수업의 형성적 기획을 위한 제언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김동식 Kim, Dong-Sik. 서울동답초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