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原薯

Projected Changes in Wind Speed over the Korean Peninsula in the 21st Century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원문정보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21세기 한반도 풍속 변동성 전망

Jeong-In Lee, Jin-Young Kim, Hyun-Goo Kim, Do-Yong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long-term variability of wind speed over the Korean Peninsula in the 21st century were analyzed using RCP and SSP climate change scenario data.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average wind speed in the 21st century showed that the wind speed in the sea area was about twice that of the land area, and the SSP scenario showed a stronger overall wind speed distribution compared to the RCP scenario. The anomaly distributions of the multi-decadal wind speed showed various patterns depending on the target scenario and space-time, and showed relatively large anomaly variability in the sea area than in the land. In the 21st century, the long-term trend of wind speed over the Korean Peninsula was dominated by negative variability indicating a decreasing trend overall. Compared to the RCP scenario, the variability of wind speed was evaluated to be relatively large in the SSP scenario. It was also found that the variability of wind speed in the high greenhouse gas emission scenarios(RCP8.5 and SSP5- 8.5) was slightly greater than the medium greenhouse gas emission scenarios(RCP4.5 and SSP2-4.5). In conclusion, the projected changes in wind speed over the Korean Peninsula in the 21st century may vary depending on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e spatio-temporal complexity of winds must be consider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RCP 및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21세기 한반도 풍속의 장기변동성 전망에 대한 시공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21세기 풍속의 평균 기후값의 공간분포 양상은 해상 영역의 풍속이 육상 영역보다 평균적으로 약 2배 정도 크게 나타났고, SSP 시나리오의 경우가 RCP 시나리오의 경우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강한 풍속분포를 보였다. 연대별 풍속의 아노말리 변동성은 대상 시나리오 및 시공간에 따라 다양한 양상이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육상보다 해상에서 상대적으로 큰 아노말리 변동성을 보였다. 21세기 한반도 풍속의 장기변동추세는 전반적으로 감소추세를 나타내는 음의 변동성이 지배적이었으며, SSP 시나리오의 경우가 RCP 시나리오의 경우와 비교하여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평가되 었다. 또한, 온실가스 고배출 시나리오(RCP8.5 및 SSP5-8.5)의 경우가 온실가스 중배출 시나리오(RCP4.5 및 SSP2-4.5) 의 경우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변동 폭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21세기 한반도 풍속의 미래 변동성 전 망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 특유의 시공간적 복잡·다양성을 배제할 수 없겠다.

목차

Abstract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방법
1. 분석대상 시나리오
2. 대상영역 및 대상기간
III. 결과 및 고찰
1. 아노말리 공간 변동성
2. 연 변동성 및 계절 변동성
IV.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Jeong-In Lee 이정인.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Jin-Young Kim 김진영. New & Renewable Energy Resource Map Laboratory,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Hyun-Goo Kim 김현구. New & Renewable Energy Resource Map Laboratory,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Do-Yong Kim 김도용.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