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순환경제 관점의 국내 자원순환 정책분석 : 2018 ~ 2020년 5개 정책을 대상으로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omestic resource circulation policy announced in 2018-2020 and the EU's environmental policy, circular economy policy, to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policy alternatives. To this end, main keywords were derived from the four policies announced by the EU in 2014, 2015, 2018, and 2020, and these were composed of policy goals (Lv1), core strategies (Lv2), and monitoring (Lv3). This study analyzes the five domestic resource circulation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ircular economy policy.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1st Master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which was the highest level plan in the field of resource circula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policy at a level quite similar to that of the EU policy, with a score of 90 based on 100 points of EU circular economy policy.
한국어
본 연구는 2018~2020년에 발표한 국내 자원순환 정책이 EU의 환경정책인 순환경제 정책과 비교하고, 향후 정책대안 을 구성함에 있어 근거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EU가 2014년, 2015년, 2018년, 2020년 발표한 4 개의 정책을 대상으로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고, 이를 정책목표(Lv1), 핵심전략(Lv2), 모니터링(Lv3)으로 구성하여 EU의 순환경제 정책 관점에서 5개의 국내 자원순환 정책을 분석한다. 그 결과 자원순환 분야 최상위 계획인「제1차 자원순환 기본계획」의 경우 EU 순환경제 정책을 100점으로 기준했을 때, 90점으로 EU와 상당히 유사한 수준의 정책임을 확인 하였다.
목차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대상과 분석방법
1. 순환경제 관련 국내‧외 주요정책
2. 연구방법
III. 분석결과 및 고찰
1. 순환경제 개념에 부합하는 정책 목표 수립 여부
2. 순환경제 단계·분야별 정책 수립 여부
3. 순환경제 모니터링 가능 여부
4. 5개 국내 자원순환 정책 분석 결과
5. 빅카인즈를 활용한 연관어 분석 결과
IV. 결론 및 정책적 제언
Acknowledgement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