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xploring the Direction of Change and How to Apply in Invention Education by Revised Practical Curriculum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2009,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relation to the invention education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o explore how to apply invention education through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2009 and 2015 revised and 2022 revises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analysis, a plan to apply invention education was derived through a discussion by researchers, and this was supplemented through expert review. Based on the above research, the application plan for invention education in practice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eriv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emphasizes the natur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beyond simple creativity education or invention technique education at the personality level.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characteristic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f invention in the goal of the invention class unit. Second, at the goal level, learning goals are set so that related content knowledge, activity experience, and value can be cultivated as an important way to cultivate technical curriculum capabilities. Third, in terms of cont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organize the content scope of invention education to the level of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Fourth, in terms of achievement standards,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can be schematized and expressed in invention classes to visually reveal the identity of invention classes and use them as a tool for reflection and consulting. Fifth, in terms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when developing convergent invention class strategies and models more diverse and abundant invention education will be possible if they are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values and contents such as maker activity, ecological transformation perspective, STEAM, robot, and digital connection.
한국어
이 연구는 초등 실과의 발명교육 내용과 관련하여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별 내용과 특징을 비교 분 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2022 개정 교육과정 실행 시 실과교육에서 발명교육을 어떻게 적용할 것 인지 구체적인 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에서 고시한 2009, 2015 개정 및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문서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 토의를 통하여 발명교육 적용 방안을 도출하였고 이를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보완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 으로 이 연구에서 도출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의 발명교육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 차원에서 단순한 창의성 교육이나 발명기법 교육을 넘어 기술 혁신의 성격을 강조한다. 이를 위하여 발명 단원의 목표에 발명이 가진 기술 혁신의 성격을 강조하여 서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목표 차원에서 발명 교육을 기술 교과 역량의 함양을 위한 중요한 방법으로서 관련된 내용지식과 활동 체험 및 가치 함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 목표를 설정한다. 셋째, 내용 체계 차원에서 발명교육의 내용적 범위를 지식 재산 교육의 차원으로 확대하여 구성한다. 넷째, 성취기준 차원에서 발명교육 내용 요소의 종합적 성격을 발명 수업 지도안에 도식화하여 표현한다. 이를 통해 발명 수업의 정체성을 가 시적으로 드러내며 발명수업의 성찰 및 컨설팅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교수·학습 및 평가 차원에서 융합적 성격의 발명 수업 전략 및 모형을 개발할 시 메이커 활동 연계, 생태전환 관 점 연계, STEAM 연계, 로봇 연계, 디지털 연계 등 다양한 가치 및 내용과 연계한다. 이러한 연계가 이 루어질 때 더욱 다채롭고 풍성한 발명교육의 실천이 가능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문제
Ⅱ. 문헌 고찰
1.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와 특징
2. 실과교육에서 발명교육 내용 관련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의 절차
2. 교육과정 비교 분석
3. 분석 내용 및 적용 방안 도출 과정에서의 타당성 확보
Ⅳ. 연구 결과
1. 실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발명교육 내용 변화 분석
2. 개정 방향에 따른 실과 발명 교육 전략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