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 사이버폭력 피해 요인에 대한 부모 지지와 친구 관계의 조절 효과

원문정보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upport and Friendly Relationship on the Negative Impact of Adolescent’s Cyberbullying Victimization

김봉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ole of parents and friends in minimizing the victimization caused by cyberbullying. To that end, we examine how cyberbullying victimization negatively affects the bullied. We als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ing support and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its negative impact. For analysis, this study used data surveyed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from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Of the 9,017 respondents, 1,136 who experienced cyberbullying victimization were surveyed. The analysis provided confirmation of the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cyberbullying victimization had a direct negative impact on the emotions and bodies of victims. Second, it was established that parenting support had no impact on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victimization through cyberbullying. Third, in the case of teens, the friendlier the friendship, the lower the negative impact of cyberbully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policy implications of cyberbullying among youth were discussed, as well a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Despite these achievements, this study pointed out that measurement variables couldn’t be considered to be exactly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this study, various methods to reduce cyberbullying victimization, and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m to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한국어

본 연구는 사이버폭력의 피해 경험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부 모와 친구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사이버폭력의 피해 경험이 피해 자에게 어떤 부정적 영향을 일으키는지를 살펴본다. 또한 사이버폭력의 피해 경험과 그 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 결과 간에 부모 지지와 친구 관계가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 는지를 고찰한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가 2020년 9월부터 11월까지 초등학교 4 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조사한 데이터를 활용했다. 조사 대상은 총응답자 9,017 명 중 사이버폭력 피해를 경험한 1,136명이었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사이버폭력의 피해 경험은 직접 적으로 피해자의 정서와 신체에 모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지지는 사이버폭력 피해로 인한 부정적 결과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경우 친구 관계가 원만할수록 사이버폭력의 피해로 인한 부 정적 영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사이버폭 력 관련 정책적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했기 때문에 측정 변수들이 본 연구가 파악하고자 하는 개념 과 정확히 일치한다고 볼 수 없다는 점, 사이버폭력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 들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 보호 요인으로 작동되는 개인의 내적, 환경적 요인에 대해 서도 적용이 필요하다는 점 등의 한계가 있음을 지적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논의
1) 사이버폭력 영향에 대한 두 가지 시각
2) 사이버폭력으로 인한 피해
3) 사이버폭력 피해에 대한 보호 요인
3.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1) 연구 문제
2) 분석 대상
3) 주요 변수
4)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1) 응답자 현황
2) 상관분석 결과
3)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 강도와 피해자의 정서적·신체적 피해
4)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에 따른 정서적 피해에 대한 부모 지지 및 친구관계의 영향
5)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에 따른 신체적 피해에 대한 부모 지지 및 친구관계의 영향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봉섭 Kim, Bong Seob.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