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ase Study on the Translation of Character Voice Lines in Video Game Overwatch 2.
초록
영어
This paper explores the strategies used in translating the character voice lines of 'Overwatch 2' into Korean with the intent of maintaining fidelity to the Source Text (ST) game experience. Strategies identified include literal translation, modification, replacement, addition, and omission and contraction. Qualitative analysis reveals that the translation efforts aim to condense line lengths through modification and omission, thereby ensuring the game maintains a brisk pace for players' enjoyment. Interactions are enhanced through mood and subject changes (modification), while the gaming experience is made more engaging via the addition of interjections, buzzwords, addressing terms, and forceful meanings. This demonstrates an active intervention by the translator to provide an entertaining and engaging gaming experience for Korean playe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게임 음성 대사의 정의와 역할
2.2. 게임 번역 전략 연구
3. 연구 대상과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4.1. 수정
4.2. 대체
4.3. 추가
4.4. 생략 및 압축
5. 결론
5.1. 요약
5.2. 의의와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김홍균 (2019). 게임 플레이버 텍스트의 번역 양상 고찰 - 게임 ‘하스스톤’의 플레이버 텍스트를 사례로. T&I Review. 9, 73-101.
- 2김홍균 (2021). 영한 게임 번역에서의 명시화에 관한 고찰 -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를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1(3), 117-131.
- 3박윤철 (2008a). 자막번역의 생략과 삭제. 번역학연구. 9(4), 169-192.
- 4유한내 (2014). 담화표지 ‘now’의 기능별 번역양상 연구: 영화자막을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18(4), 97-117.
- 5이상빈 (2013). 비디오 게임에서의 유머 번역과 수용. 번역학연구. 14(1), 183-210.
- 6이은숙 (2009). 자막 축소 번역에 대한 연구: 영화와 다큐멘터리 장르 중심으로. 언어학연구. 15, 149-168.
- 7이지민 (2021). TED 강연 자막의 양적 축소 전략 연구: 팬자막과 전문가 자막 비교. 통번역학연구. 25(1), 141-176.
- 8장민호 (2007). 映畵장르別字幕飜譯의 量的變化硏究. 미출판 박사학위 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
- 9Antonini, R. (2005). The perception of subtitled humor in Italy. Humor, 18(2), 209–225.
- 10Chaume, F. (2004). Discourse markers in audiovisual translating, Meta, 24(4), 843-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