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선호 목적지 시공간 특성 분석

원문정보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 of preferred Workation destinations using analysis of Social Network Data

이영란, 이창규, 김미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preferred resort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we employed popular and informative Instagram posts as our primary data source for analysis. Our findings revealed that June and October were the most favored vacation periods, as determined by analyzing the temporal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posting dates of vacation-related posts. Furthermore, our analysis of geotagging data confirmed that Jeju, Gangwon, Gangneung, Sokcho, Tongyeong, Geoje, Busan, and Goheung were significant workation destination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we observed a strong inclination towards natural tourist destinations, particularly those situated along coastal areas. Moreover, we conducted keyword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LDA topic modeling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posts. This analysis identified keywords such as business, institution/facility, travel, lodging, and leisure as pivotal. Consequently, it was evident that workation tourists gravitate towards destinations that offer opportunities for both work and tourism, aligning with the definition of workation. Based on our research findings, we present implications for both research and practice aimed at stimulating the future vitality of workation destina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참여자가 워케이션 목적지로 선호하는 곳의 시공간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높은 활용도를 보이는 SNS인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분석 대상으로 지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구체 적으로 워케이션 게시물이 게시된 일자를 활용하여 시간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6월과 10월이 워케이션 시기로 가장 선호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오태깅 데이터를 통해 공간적 특성을 분석 하였다. 이를 통해 제주, 강원, 강릉, 속초, 통영, 거제, 부산, 고흥 등이 주요 워케이션 지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전 연구들에서 나타난 것과 마찬가지로 자연적인 관광지, 특히 물가가 선호됨을 알 수 있 었다. 추가적으로 키워드 및 중심성 분석, LDA 토픽 모델링 등을 활용하여 게시물들의 주제와 관련한 분석 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지역에서 업무, 기관·시설, 여행, 숙소, 여가로 게시물의 주제가 분류되었 다. 이는 워케이션 참여자들은 워케이션의 정의에 맞게 일과 관광이 모두 가능한 목적지를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워케이션 목적지 활성화를 위한 연구와 실무를 위한 시사점을 제 시하였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1. 워케이션
2. 워케이션 시설 및 목적지
3.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III. 연구방법
1. 연구방법
2. 데이터 수집
3. 데이터 분석 방법
IV. 연구결과
1. 시간적 특성
2. 공간적 특성
3. 키워드 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국문초록

저자정보

  • 이영란 Lee, Young-Ran. 경희대학교 스마트관광원 석사과정
  • 이창규 Lee, Chang-Kyu.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박사 수료
  • 김미성 Kim, Mi-Seong. 경희대학교 관광산업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