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초기 불교의 수용과 발전 - 『모자이혹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Early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Buddhism in China -- focus on Mouzi’s Lihuo lun

구려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uddhism was introduced in China around the Han Dynasty. In the early days, it was mainly known to the imperial family and the public through the theory of Huang-Lao and the Fairy and Divination, which both were traditional Chinese ideologies. However, at the end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social ideology was affect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 political turmoil, and emerged a new landscape. The moral concepts created based on Confucianism, which was originally the mainstream of ideology, began to waver, and other ideologies that existed in the past such as Taoism and Legalism revived. For the same reason, Buddhism also entered its own new turning point by emphasizing the similarity with Taoism rather than Huang-Lao and the Fairy and Divination. The image of Buddhism depicted in Mouzi was Buddhism at this time. In the text of M ouzi, a Chinese man named “Mouzi” was proficient in Confucianism, Taoism, and the theory of Fairy and Divination. From his young age, as during the Three Kingdoms’turmoil period, he began to believe and study Buddhism. He interpreted Buddhism with the concept of Taoism, and disprove Confucianism with the context of The Four Books and The Five Classics, the very own books of Confucianism’s. Last but not least, he took the initiative by criticizing the Fairy and Divination to advocated Buddhism. All above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Buddhism to become the mainstream of Chinese ideology. The image of Buddhism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depicted in M ouzi was a complex face of Buddhism representing that era.

한국어

양한(兩漢)시대에 중국에 전해진 불교는 안세고(安世高)로 대표되는 소승선법(小 乘禪法)과 지루가참(支婁迦讖)으로 대표되는 대승반야학(大乘般若學)이 주류를 이루 었다. 이 당시 중국에 전해진 불교는 당대에 유행했던 황로방술(黃老方術)과의 유 사성이 강하기에, 불교는 이것들을 격의하며 중국에 퍼져나갔다. 이러한 중국의 불교는 한나라에 이르러 정치와 사회의 혼란기를 맞이하였다. 이때 본래 중국 사 상의 주류였던 유가(儒家)를 토대로 만들어진 도덕관념이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도가(道家), 법가(法家) 등 과거에 있었던 사상이 다시 흥기하였고, 불교 또한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불교는 처음에 전래되었을 때부터 황로학과 도 가와의 유사성을 강조했다는 주목할 만한 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격의와 토론 을 통해 심화되어 삼교의 교섭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중국에서 삼교교섭의 첫 저작으로서 『모자이혹론』이 나타나게 된다. 『모자』에 대한 학계의 주된 연구는 저술의 진위의 판단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본 연구는 『모자』에 대한 진위 여부가 아닌 저술이 출연한 시대의 배경에 집중하여, 당시 중 국에서 불교의 변화를 고찰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불교에 귀의한 중국의 지 식인 모자(牟子)는 도가의 개념을 가지고 불교를 해석하고, 유가서적과 도가를 가 지고 유가를 반박하였고, 또한 신선방술을 비판하며 불교의 우수성을 피력하였다. 이러한 사상의 피력은 후일 불교가 중국 사상계의 주류가 될 수 있게 만드는 밑거 름으로 작용했다. 『모자』에 묘사된 전환기 불교의 이미지는 시대를 표상하는 불교 의 복합적인 얼굴이었다.

중국어

佛教于两汉之际传入中国. 由于与黄老方术的相似性, 起初传入汉地的佛教主要是 以安世高为代表的小乘禅法和以支谶为代表的大乘般若学. 汉末三国, 群雄割据, 社 会动荡. 在意识形态方面, 儒家名教的统治地位受到重创, 道家法家等思想复兴. 思潮 涌动的乱世, 佛教也迎来新一轮的转型--强调与道家学说的相通性, 『牟子理惑论』 所 展现的正是此时的佛教. 『牟子理惑论』 作为中国历史上首部论衡三教的著作, 学术界对其真伪的考辩用力 颇深. 本文着力于将其置于时代背景下, 探讨佛教的转型问题. 牟子作文中国本土的 有识之士, 利用其强大的知识背景为佛教辩护. 他以道释佛, 驳斥神仙方术, 用儒道反 儒论, 使佛教摆脱迷信的嫌疑, 与当时正在复兴的道家思想建立了明确的联系, 为以 后佛教跻身中国主流思想之列铺平了道路. 通过 『牟子』 的一番描述, 正值转型期的 佛教形象跃然脑海, 它是时代的画笔所描绘的一幅复合性的佛教形象.

목차

국문 초록
摘要
Ⅰ. 前言
Ⅱ. 思潮的转换
Ⅲ. 佛教的转型
1. 佛教的方术时代
2. 佛教道家时代的开启
Ⅳ. 佛教对儒家的迎拒
1. 对儒家迎合
2. 佛儒之争
Ⅴ. 结语
약호 및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려사 QIU LISHA. 중국인민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