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융합(TC)

상황학습이론에 따른 아동 재난안전교육 애플리케이션 개발 - 초등학생 저학년을 대상으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Children's Disaster Safety Educa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Situational Learning Theory - For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박기림, 류혜정, 엄성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the emergence of a climate crisis, climate disasters have recently been clearly felt in Korea. In particular, the typhoon ‘Hinnamno’ in the summer of 2022 made many people feel a sense of crisis with its formidable power. In this situation, children are likely to suffer great damage even in small crises due to their lack of experience and ability to cope with disaster situation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disaster response learning application that supports children's disaster response training. Designed based on research results on situational learning theory and child disaster safety education, this system produces various episodes and trains them to encounter disaster situations. Children can participate in the episode by choosing options during the episode, which is reflected in the picture diary after the episode is completed. By providing information naturally in the picture diary, children can access how to cope with disaster situations. Through this system, children are expected to develop their judgment in disaster situations that they can encounter and have the ability to secure basic safety outside of adult help.

한국어

기후 위기가 대두되며 최근 한국에서도 기후 재난이 선명하게 체감되고 있다. 특히 2022년 여름에 발생한 태 풍 ‘힌남노’는 가공할만한 위력으로 많은 사람이 위기감을 느끼게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동들은 재난 상황에 대한 경험과 대처 능력이 부족하여 작은 위기에도 큰 피해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에서는 아동들의 재난 대처 훈련을 지원하는 재난 상황 대처법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한다. 상황학습이 론과 아동 재난안전교육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된 본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에피소드를 제작하여 재난 상 황을 접하도록 교육한다. 아동은 에피소드 진행 중 선택지를 고르며 에피소드에 참여할 수 있고, 이는 에피소드 완료 후 그림일기에 반영된다. 그림일기 속에 자연스럽게 정보를 제공하여 아동은 재난 상황에서의 대처법에 대해 접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을 통해 아동은 본인이 접할 수 있는 재난 상황에서 판단력을 기르고, 성인의 도움 밖에서 기본적인 안전을 확보하는 능력을 지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 연구
1. 이론적 배경
2. 아동 특성에 대한 연구
Ⅲ. 시스템 설계
1. 시스템 설계 및 개발 환경
2. 시스템 구성
3. 사용자 인터페이스
4. 에피소드 제공
Ⅳ. 시스템 구현
1. 시스템 설정
2. 메인 화면 및 음향 설정 화면
3. 에피소드 화면
4. 그림일기 화면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기림 Gi-Rim Park. 준회원, 서울여자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학과 학사
  • 류혜정 Hye-Jeong Ryu. 준회원, 서울여자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학과 학사
  • 엄성용 Seong-Yong Ohm. 정회원, 서울여자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