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창원시 탄소중립마을 사업평가를 통한 지속가능한 주민참여형 탄소중립마을 활성화 방안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Activating a Sustainable Carbon-neutral Community through Resident Particip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of Changwon City's Carbon-neutral Village Project

장유미, 이승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lected seven carbon-neutral villag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ncluding all five administrative districts of Changwon City, and proposed activation plans based on business evaluations through surveys of local residents and FGIs with leaders. The analysis showed that carbon-neutral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ctivating carbon-neutral villages, with a response rate of 91.9% for 17 multiple-choice questions, followed by legal (ordinance) arrangements at 79.3% and village organization building at 74.1%. Based on this, the following activation plan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ho are involved in the project of creating a carbon-neutral village in Changwon City were propose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rbon-neutral village model were classified into a resource circulation-based model, an environmental creation-based model, a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xperience event-based model, and an energy efficiency-based model. Seco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present carbon-neutral village growth stage guidelines for the growth of carbon-neutral villages. Third, manuals and teaching materials related to carbon neutrality, such as theories, issues, and practices, need to be produced and distributed for leaders and activists to easily apply and access for self-government operation of the village. Finally, if a carbon-neutral support center that is legally installable in Changwon City is established, it is expected that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will become more sustainable for carbon-neutral living in preparation for climate crises.

한국어

본 연구는 창원시 전체 5개 행정구 모두가 포함되고 각 지역 특성을 고려한 7곳의 탄소중립마을을 선정하여 해당 지역주민과 설문조사와 리더의 FGI를 통한 사업평가를 바탕으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분석결과 탄소중립 마을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17개 문항을 복수 응답한 결과 탄소중립 교육이 91.9%로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사업을 진행하면서 마을의 정체성과 관련된 목표의식과 가치추구가 중요하다가 89.1%를 차지하였으며, 법적(조례) 마련 79.3%, 마을조직 구축 74.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창원시에서 탄소중립마을 만들기 사업 에 참여하는 주민들을 통한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탄소중립 마을별로 자원순환 중심형 모델, 환경조 성 중심형 모델, 환경교육과 체험행사 중심형 모델, 에너지 효율 중심형 모델로 구분되어 그 특징이 나타났다. 두 번 째로, 탄소중립마을의 성장을 위해 탄소중립마을 성장 단계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 마을 자치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리더와 활동가들이 쉽게 적용하고 접근할 수 있는 탄소중립 관련 이론, 이슈, 실천 등의 매뉴얼 및 교안을 제작하여 배포하는 것이 필요하다. 네 번째로, 창원시에 법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탄소중립지 원센터가 설립된다면, 지역주민의 삶이 기후 위기에 대비하여 탄소중립생활이 더욱 지속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탄소중립마을 개념
2. 탄소중립정책 현황
3.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1. 마을선정
2. 주민 설문조사
3. 사업 리더 FGI
Ⅳ. 연구결과
1. 설문조사 결과
2. Focus Group Interview(FGI) 결과
Ⅴ. 토론
Ⅵ.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장유미 Yu Mi Jang. 정회원,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전임연구원
  • 이승준 Sung Jun Lee. 정회원, (사)경남문화콘텐츠연구소 연구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