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한류 휴먼브랜드에 대한 자아일치성이 애착과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Self-congruity with Hallyu Human Brand on Attachment and Brand Equity

김은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Hallyu human brands on consumer behavior, given the increasing influence of Hallyu human brands due to their global spread and the limited academic discussions surrounding this topic. The research examines the role of self-congruity, human brand attachment, and brand equity factor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hinese consumers who are highly engaged with the Korean Wave. Data from 403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 that both ideal and actual self-congruity with the Hallyu human brand significantly affected attachment to the brand, while social self-congruity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Furthermore, attachment to Hallyu human brands positively influenced brand recognition, perceived quality, brand image, and brand loyalty.

한국어

본 연구는 한류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한류 휴먼브랜드의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는 반면, 이를 중심으로 한 학 술적인 논의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한류 휴먼브랜드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성을 자아일치성, 휴먼브랜드 애착 과 브랜드 자산 요인으로 검증하였다. 한류 소비가 많은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403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류 휴먼브랜드와의 이상적 자아일치성과 실제적 자아일치성은 한 류 휴먼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자아일치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한류 휴먼브랜드에 대한 애착은 브랜드 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휴먼브랜드
2. 자아 일치성
3. 휴먼브랜드 애착
4. 브랜드 자산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Ⅳ. 결과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측정 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3. 자아일치성과 브랜드 자산, 애착 간의 영향 관계 검증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은혜 Eunhye Kim. 정회원, 부경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