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왕가위(王家衛) 영화의 공간 특성 연구 : 홍콩도시 공간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Wong Kar-wai's Movie : Focusing on Hong Kong's Urban Space

이정운, 김유진, 박은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the spatial representations constructed by reality, filming, and narrative in the works of Hong Kong film director Wong Kar-wai, and how these spaces influence Hong Kong's urban culture, percep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analyze Wong Kar-wai's films, Charles Sanders Peirce's semiotics concepts and Paul Virilio's spatial concepts were applied. Through this, we examined how the meaning embedded in the spatial representations of Wong Kar-wai's films could become a crucial factor in their success. Wong Kar-wai focused on the values of human relationships formed by society in his subject expression, directly representing the human inner world and prompting audiences to think about it. In this paper, we categorized the spaces depicted in Wong Kar-wai's films as public, private, and connective spaces, and analyzed them as a means to show the living environment and emotions of Hong Kong's youth. Through this, we determined that the spatial representations in Wong Kar-wai's films effectively demonstrate the cultural interpretation function of Hong Kong's citizen consciousness at the junction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nd social connections. In conclusion, Wong Kar-wai's works provide a rich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people's lives, emotions, and urban spaces, offering valuable insights into Hong Kong's film industry and cultural values.

한국어

본 논문은 홍콩 영화감독 왕가위의 작품에서 현실, 촬영, 서사로 구성된 공간 표현과 그러한 공간이 홍콩의 도 시문화, 인식 및 사람 간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왕가위 감독의 영화를 분석하기 위해 찰스 샌더 스 퍼스의 기호학 개념과 폴 비릴리오의 공간 개념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왕가위 감독의 영화 공간에 내포한 의미 가 어떻게 영화 성공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왕가위 감독은 주제 표현에서 사회가 형성한 인 륜이라는 가치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 정신세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며 관객들로 하여금 그에 대해 사고하게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왕가위 감독의 영화에서 표현한 공간을 공공, 개인 그리고 연결공간으로 구분하여 홍콩 젊은이들의 주 거 환경과 정서를 보여주는 수단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왕가위 감독의 영화 속 공간 표현이 홍콩 시민 의식의 동서양 문화와 사회적 연결 지점에서 문화 해석 기능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결론적으로, 왕가위 감독의 작품은 동시대 사람들의 삶과 감정, 도시 공간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제공하며, 홍콩의 영화 산업과 문화적 가치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II. 연구범위 및 방법
III. 왕가위의 영화 세계
IV. 왕가위 영화 속 ‘공간’
1. 공공공간
2. 개인공간
3. 연결공간
V.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정운 Zheng-Yun, Li. 정회원, 경일대학교 사진영상학부 박사과정
  • 김유진 Yoojin, Kim. 정회원, 경일대학교 사진영상학부 교수
  • 박은광 Park Eun Kwang. 정회원, 경일대학교 사진영상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