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스토리텔링에 의한 판소리 발레극 '도깨바! 도깨바!'의 무대의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of Pansori Ballet Theater 'Dokkaeba! Dokkaeba!’ Based on Storytelling

유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e to the increasing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traditional themes are emerging to the forefront of performance content development,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 art of storytelling to the creative proc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ifferentiated costume design of the Pansori ballet “Dokkaeba! Dokkaeba!,” develop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torytelling in its performance creation process. Choreographers, writers, and costume designer collaborated throughout the storytelling process from planning to content creation. This resulted in a clarified depiction of the Dokkaebi as divine beings with transcendental powers who are simultaneously friendly and familiar entities, often appearing in the form of humans and objects. Accordingly, the costume design based on this collaborative storytelling deliberately avoided the appearance of Dokkaebi reminiscent of 'Kwimyeonwa' or Japanese 'Oni', typically expressed with horns or decorations, and instead implemented novel design elements, such as fusion Hanbok with a variety of dimensionally aesthetic accessories, meaningful color contrast in modern clothing, textural elements indirectly expressing character and transmogrification, and daily clothing attire to illustrate the humanized Dokkaebi.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new performance art showcasing the Dokkaebi by identifying the diversity of expression and direction within costume design.

한국어

본 연구의 배경은 한류의 확산으로 주목되는 공연 콘텐츠 개발에 있어서 전통 소재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창작과정에서 스토리텔링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판소리 발레극 ‘도깨바! 도깨바!’의 공연창작 과 정에 스토리텔링을 도입함으로써 나타나는 차별화된 무대의상 디자인을 살펴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안무가, 작가, 의 상 디자이너가 작품 기획부터 작품 내용 창작까지 스토리텔링 과정에 공동으로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로 한국적 도깨비는 초월적인 힘을 가진 신적 존재이면서 동시에 인간이나 사물의 모습으로도 나타나는 일상적이고 친근한 존재로 정의되었 다. 그리고 공동으로 창작한 시나리오에 따라서 디자인 된 무대 의상은 기존의 공연에서 뿔이나 장식으로 표현하던 ‘귀면 와’나 ‘오니’를 연상시킬 수 있는 도깨비의 모습을 지양하고, 퓨전한복과 다양한 조형적인 장신구, 색채 대비를 통한 모던 창작 의상, 질감에 의한 간접적인 사물에 빙의한 도깨비 캐릭터 표현, 일상복 착장 등으로 인간화 된 도깨비를 표현함으로 써 차별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도깨비를 주제로 한 새로운 공연 콘텐츠 제작에 기여하고 무대의상 디자인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Ⅱ. 이론적 고찰
1. 스토리텔링과 공연예술
2. 도깨비의 유래
3. 기존의 공연에 나타난 도깨비 무대의상 분석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유진영 Ryu Jinyoung. 정회원, 서울디지털대학교 패션학과 객원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