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고뇌가 진로 성숙도와 진로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Moral Distress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College Students

이숙영, 정명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relationships between the moral di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career maturity, and between the moral distress of the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using a descriptive correlation methodology. Analysis is done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IBM SPSS WIN/22.0.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jects with an outgoing personality (F=-2.82, p=.001), who suffered from moral distress at an older age (F=.4.85, p=.029).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among subjects with an extroverted personality (F=3.63, p=.001). The average score of the subjects' moral distress is 72.51±53.75, and by sub-area, futile care was the highest with 23.36±19.04, and the lowest with 7.61±8.56 in physician practice. The average of career maturity was 3.74(±.56), and by sub-area, career attitude was the highest with 3.98±.54, and the lowest with 3.61±.43 in professionalism. The averag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2.67(±.60).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al stress of nursing students is a factor affecting career maturity (r=-.510, p=.000)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353, p=.001).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positively enhance the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through intervention for the moral anguish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고뇌가 진로 성숙도와 진로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써, 4년제 간호대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IBM SPSS WIN/22.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관관계는 도덕적 고뇌는 나이가 많고(F=.4.85,p=.029), 외향적인 성격(F=-2.82, p=.001)의 대상자에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 성숙도에서는 외향적 성격(F=3.63, p=.001)의 대상자에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 자의 도덕적 고뇌 총점의 평균은 72.51±53.75점이었으며, 하위영역 별로는 무의미한 돌봄 23.36±19.04점으로 가장 높 았고, 의사 실무는 7.61±8.5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진로 성숙도의 평균은 3.74(±.56)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의식 3.61(±.43)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진로 준비 행동의 평균은 2.67(±.60)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도덕 적 고뇌가 진로 성숙도(r=-.510,p=.000)를 진로 준비 행동(r=-.353, p=.001)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겪는 도덕적 고뇌에 대한 중재를 통해 이들의 진로 성숙도와 진로 준비 행동을 긍정적으로 증진 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 도구
4. 자료분석
5. 윤리적 고려
6. 연구의 제한점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도덕적 고뇌, 진료성숙도, 진로 준비 행동의정도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덕적 고뇌, 진로성숙도, 진로 준비 행동
4. 도덕적 고뇌, 진로 성숙도, 진로 준비 행동 간의상관관계
5. 도덕적 고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숙영 Sug-Young Lee. 정회원, 군산간호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정명숙 Myung-Sook Jung. 정회원, 군장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