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통을 강화하는 발전적 교회학교 교육의 모색 : 하브루타 활용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Church School Education to Strengthen Communication

김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VID-19 pandemic has provided the church with an opportunity for cool self-reflection. It relates to the question of how to prepare for the reality that we can no longer return to the pre-COVID-19 pastoral situation. For example, passive attitude toward church attendance in non-face-to-face situations, non-face-to-face meetings, worship, education, and fellowship that are still being requested despite the transition to face-to-face ministry, and and reflection on the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pastors and developmental education for church school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problem that was given to everyon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as communication. Social dysfunctions have also appeared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or insufficient communication, such as restrictions on communication by social distancing, physical control, insufficient education, and lack of sociality. In this context, church school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needs to encourage education to strengthen communication that was limited during the COVID-19 period. Havruta by the Jews is a learning method corresponding to this situation. Havruta is widely applied to public education, private education, and church education in Korea. The reason for this may be due to the ability of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ocial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development provided by the process of Havruta learning method, such as questioning, listening, supporting, and challenging. This study relates to the applicability of Havruta that can be used in church school classes. The application of Havruta learning to church schools, which strengthens communication in the crisis of church education such as corona pandemic, loss of church status, reduction and closure of church schools, will driv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urch education through alternative class studies that focus on students and actively encourage student participation. To this end, the church should provide temporal and material support for educators to understand and practice Havruta and apply it to church education, and teachers should be able to use Havruta's curriculum in the field of education.

한국어

코로나 팬데믹은 교회에 냉정한 자기 성찰의 계기를 제공했다. 그것은 코로나 이전 목회 상황으로 이제는 되돌아갈 수 없게 된 현실을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 하는 문제 와 관련한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 모든 사람에게 주어졌던 문제는 ‘소통’(communication) 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의한 소통의 제한, 물리적 통제, 불충분 한 교육, 사회성 결여 등 소통의 부재 내지는 불충분한 소통으로 인해 사회적 역기능 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런 맥락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회학교 교육은 코로나 시 기 제한되었던 소통을 강화하는 교육을 격려할 필요가 있다. 유대인의 하브루타는 이 에 상응하는 학습이다. 하브루타는 한국 내 공교육, 사교육, 그리고 교회 교육에 이르 기까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하브루타 과정의 해석하기, 논쟁하기, 평 가하기 등이 제공하는 창의적 및 비판적 사고능력, 사회적 소통 능력과 관계성 함양 등의 역량 때문일 것이다. 이 연구는 교회학교 교육환경에서 특별히 분반 공부에 적 용할 수 있는 하브루타 적용 가능성과 관련한다. 코로나 팬데믹, 교회의 위상 실추, 교회학교 감소 및 폐쇄라는 교회 교육 위기 환경 속에서 소통을 강화하는 하브루타 학습의 교회학교 적용은 학생이 중심이 되고 학생의 참여가 적극적으로 격려되는 대안적 분반 공부를 통해 교회 교육의 질적 향상을 추동해낼 것이다. 이를 위해 교회는 교단, 교회, 교육담당자 차원에서 하브루타에 대한 이해와 실제를 섭렵하여 교회 교육 환경에 적용할 시간적 · 물질적 지원을 제공하며, 교사에게도 이를 위한 교육을 통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하브루타 이해
1. 하브루타
2. 하브루타 학습 방법
3. 하브루타 학습의 실제
4. 하브루타 학습 방법을 통한 역량
III. 교회학교의 하브루타
1. 한국 교회학교의 교육환경
2. 소통을 강화하는 교회학교 교육
3. 하브루타를 통한 소통 강화 교육의 교회학교 적용에 대한 시사점
I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진영 Kim, Jin-Young. 서울신학대학교 외래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교육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