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the Consumption Value of Customized Cosmetics on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smetic Pursuit Benefits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consumption value of customized cosmetics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pursuit benefits. In other words,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at the consumption value of customized cosmetics consisting of functional, emotional, and economic values affects the pursuit benefits including social, practic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and how these pursuit benefits affect purchase intention.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functional and economic values among the consumption values of customized cosmetic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practic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of the pursuit benefits. However, among the consumption values of customized cosme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valu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ocial, practic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of the pursuit benefits. Finally, social benefits, practical benefits, and psychological benefits of customized cosmetic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gaining a competitive advantage by establishing a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in the customized cosmetics market.
한국어
본 연구는 맞춤형 화장품의 소비가치가 추구혜택을 통해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가치, 감정적 가치, 경제적 가치로 구성된 맞춤형 화장품의 소비가치가 사회적 혜택, 실용적 혜택, 심리적 혜택을 내포한 추구혜택에 영향을 미 치고, 이러한 추구혜택이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맞춤형 화장품의 소비가치중 기능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는 추구혜택의 사회적 혜택, 실용적 혜택, 심리적 혜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맞춤형 화장품의 소비가치 중 감정적 가치는 추구혜택의 사회적 혜택, 실용적 혜택, 심리적 혜택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맞춤형 화장품의 사회적 혜택, 실용적 혜택,, 심리적 혜택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맞춤형 화장 품 시장에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을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소비가치에 대한 연구
2. 추구혜택에 대한 연구
3. 구매의도에 대한 연구
III. 연구 방법론
1. 연구모형
2. 가설설정
3. 변수의 측정
4.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
IV. 실증분석
1.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결과
3. 상관관계 분석
4. 가설검증
V. 결론
1. 논의 및 시사점
2.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