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방문요양보호사를 활용한 재가 치매노인 대상 방문 맞춤형 움직임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원문정보

Development of Customized Movement Program for Visiting Care Helper for Senile Dementia Patient at Home and Effect of Program Application

홍미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ustomized movement program developed for home visits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by caregivers applying it at the care site. Each 7 research participants was selected from visiting caregivers, an experimental group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and a control group using the nomadic sampling method, and conducted a total of 36 sessions for 20 to 30 minutes, 3 times a week for 12 weeks, and t-test was perform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Korean version of brief mental state. Second, physical fitness for daily living showed posi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a posi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Fourth, in daily life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posi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movement',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negative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ashing, bathing, and eating.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발된 재가 치매노인 대상 방문 맞춤형 움직임프로그램을 실제로 요양보호사가 돌봄 현장 에 나가 치매노인에게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방문요양사, 재가 치매노인 실험집 단, 통제집단 각각 7명씩을 유목적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여 주 3회, 20분∼30분, 12주 총 36회를 실시하였으 며 자료 분석은 t-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판 간이정신상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 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일상생활체력은 실험집단에서 하위요인 모두 긍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 나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삶의 질은 실험집단에서 긍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넷째,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실험집단이 ‘이동’에서만 긍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통제집단은 세 수하기, 목욕하기, 식사하기에서 부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연구 방법
1. 치매노인을 위한 방문 맞춤형 움직임프로그램개발
2. 연구참여자
3. 측정도구 및 자료수집
4. 자료 분석
5. 연구의 신뢰도 및 윤리성
6. 연구의 제한점
연구 결과 및 논의
1. 측정요인에 대한 집단 간 동질성 검정 결과
2. K-MMSE(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 차이
3. 일상생활체력의 차이
4. 삶의 질의 차이
5. 일상생활 수행능력 차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미성 Hong, Mi-Sung. 우석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