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술 콘텐츠 분야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연 특성이 예술 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관람에 미치는 영향 - 개인 혁신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Effect of Metaverse-Related Performances' Feature for Art-Major College Students' View of Metaverse Performances - Basis Mediator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

송진화, 이동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Untact" culture spreads among communities throughout pandemic from COVID-19, performances without contact have been built newly in fields of arts & performances as well. Such change in performance arts has developed on-line performances, especially focusing on Metaverse that has removed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virtual world, and maximizing online performances' efficiency. The industry of art and performances is putting more weight on online art performances to make a breakthrough this new society with untact culture especially by focusing on Metaverse technology. With acknowledging such background, we have studied about art performances based on Metaverse technology by choosing art-major undergraduates as subject, for having lowest entry to the metaverse-related art performances. We have also made quantitative study for the factors related to these students' intention to attend metaverse performances. To summarize, our study is made upon how quality, characteristic and emotional traits of metaverse performances are related to people's intention to attend these performances, and analyzing if personal innovativeness of art-major undergraduates can have mediator effect in this relationship. As a first result of study,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s based on metaverse and emotional traits to this performance has valuable effect on peoples' intention to attend metaverse performances. Secondly, innovativeness of art-major undergraduates was shown to have partially mediate people's emotional trait an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to the metaverse performances. Our study has proved variants related to students' intention to participate metaverse performances, and implied plan to improve their intention to attend to such performances based on this result of analysis.

한국어

코로나19의 펜더믹을 통해 사회 전체에 비대면 문화가 심화되면서 공연예술계에서도 비대면 공연문 화가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공연예술계는 온라인 공연의 발전에 집중하였으며, 특히 온라인 공연 중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무너트린 메타버스에 집중하였다. 즉 공연예술산업 은 비대면 문화가 성행된 사회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기 위해 온라인 공연예술에 집중하고 있으며, 메 타버스라는 기술에 집중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인지하여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이용의도를 연구주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장벽이 낮은 예술 계열 대학생을 선정하였으며, 예술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와 관계성이 있는 요인들에 대해 양적연구를 하였다. 즉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연 품질, 특성, 매타버스 공연에 대한 정서적 특성이 메타버스 공연 이 용의도에 어떤 관계를 갖는지,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예술계열 대학생의 혁신성은 매개효과를 일으키는 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자면 첫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연 특성과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정서적 특성은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둘째, 예술계열 대학생의 혁신성 은 메타버스 공연에 대한 정서적 특성과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를 부분 매개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 구 결과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예술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와 관계성 있는 변수들을 증명하였고, 예술계열 대학생의 메타버스 공연 이용의도를 높일 방안에 대해 시사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방법
Ⅱ. 이론적 배경
2.1. 메타버스
2.2. 공연예술
2.3. 메타버스 공연 특성
2.4. 혁신성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도구
3.3. 분석방법
Ⅳ. 연구 분석 및 결과
4.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4.2. 기술통계량
4.3. 상관분석
4.4. 가설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진화 Song, Jin-Hwa. 상명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외래교수 (Sangmyung Univ.)
  • 이동수 Dong-Soo Lee. 상명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부교수 (Sangmyung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