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기 콘텐츠 분야

실존 공간과 사건을 기반으로 한 공연화 연구 - 연극 <짐승의 시간>에 나타난 공간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Performance Based on Actual Space and Events - Focusing on the Space Appeared in <Time of the Beast> -

어일선, 이성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derives an image of space based on the testimony and documenraty studies of victims held in the actual Seongam concentration camp, the actual space and shows the derived image was used for the performance through stage space analysis appeared in the performance

한국어

본 논문은 실존 공간인 선감원과 그곳에 수용되었던 피해생존자의 증언 및 기록 연구를 바탕으로 공 간의 이미지를 도출하고, 도출된 이미지가 공연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연극 <짐승의 시간>에 나타난 무대 공간분석을 통해 연구한 논문이다. 희곡 <짐승의 시간>은 일본의 나토리 사무소의 의뢰로 김민정 작가가 쓰고 이시카와 쥬리가 번역한 작품으로 2020년 10월 23일부터 11월 02일까지 일본 시모키타자와 에 있는 소극장 B1에서 시라이 케이타의 연출로 초연되었다. 희곡 <짐승의 시간>의 중요한 특징은 역사 속 실재했던 공간인 안산 선감도의 소년범 수용소 선감원을 공간적 배경으로, 1945년 05월을 시간적 배경으로 한다는 점이다. 실제 공간과 사건을 허구적 상상력으로 공연화하는 과정은 실제 공간과 사건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창작자의 감각을 일깨우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검증되지 않은 내 용을 공연화한다면 불특정 다수의 관객이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여 받아들일 위험이 있다. 반대로 작가의 허구적 상상력에 의한 이야기이지만 정확한 근거를 기반으로 공연화한다면 불특정 다수의 관객에 의해 사건은 이슈화되고 많은 사람들이 사건 자체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면서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갈 시사점 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가 2021년 04월 29일부터 05월 09일까지 대학로 소극장 공유 에서, 2022년 10월 07일부터 08일까지 안산문화예술의전당 별무리극장에서 연출로서 참여한 연극 <짐승 의 시간>에 나타난 공간을 중심으로 실존 공간을 소재로 공연화할 때의 방법과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공 연제작과정 중 대본분석이 어떻게 공연이라는 결과로 나타나는지를 공간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를 통 해 현장 작업자들에게 공간분석의 중요성을 상기시키고 공연제작과정에서 공간분석의 접근 방법을 제시 하는 데에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선감원의 형성 배경과 공간이 담고 있는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고, 피해생존자들의 증언과 기록 연구를 통해 공간의 주요 이미지를 도 출해 냄으로써 실제 공연에서 구현한 공간을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Ⅱ. 실존 공간 선감원의 공간적 특징
2.1. 선감원의 형성 배경
2.2. 증언과 기록에 나타난 공간
2.3. 선감원의 공간적 특징
Ⅲ. <짐승의 시간>의 공간적 특징
3.1. 공간의 연출 콘셉트
3.2. 공연 장면에 나타난 공간적 특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어일선 Il-Seon, Eo. 청주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 (Cheongju Univ.)
  • 이성구 Sung-Gu, Lee. 국제대학교 연기과 조교수 (Kookje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