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연구]

산학 연계 마케팅 프로그램이 소비자의 브랜드 사랑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Marketing Program on Brand Attitude

이원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oth corporation and university can expect positive results through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efforts. It is therefore important for the academic and practical purpos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and marketing performance, but previous studies about this relationship have examined ristrictly compared to other research areas of marketing. This research get its points because marketing research areas can be expanded by focusing on new theme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ing program based on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and three dimensions of consumer's love for brand. If this program has effects on marketing performance, participation group will rate overal level of perceived love for brand(brand intimacy, brand passion, brand commitment) higher than exclusion group will. Also self-brand image congruence is expected to show interaction effects with the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participation group has higher level of brand love than exclusion group, and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program and self-brand image congruence hav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m partialy. According to the research implications, corporation and university need to be more proactive to develop industry-university marketing programs for their mutual benefits.

한국어

마케팅 분야의 산학 연계 노력은 대학과 기업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산학연계를 촉진하기 위해서 산학 연계와 마케팅 성과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은 학술적이나 실무적으로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연구는 비교적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마케팅 산학 연계 프로그램이 소비자의 브랜드 사랑의 3가치 차원(친밀감, 열정,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봄으로 서 연구 범위를 다양화했다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만약 산학 연계 프로그램이 마케팅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면 산학 연계 참가집단은 제외집단보다 브랜드 사랑의 구성 차원 전반에 걸쳐서 높은 평가를 내리게 될 것이다. 또한 자아-브랜드 이미지 일치성은 산학연 계 프로그램과 상호작용효과를 갖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 참가 집단은 제외 집단 보다 높은 수준의 브랜드 사랑을 갖고 있으며, 산학 연계 프로그램과 자아-브랜드 이미지 일치성 역시 부분적으로 상호작용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과 대학 양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마케팅 분야의 산학연계 에 노력을 기울임으로서 공동 이익을 실현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산학 연계의 의의
2.2 산학 연계와 소비자 참여
2.3 브랜드 성과와의 연계
Ⅲ. 가설 수립 및 연구 방법
3.1 가설의 수립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3 표본 특성
Ⅳ. 실증 결과
4.1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4.2 가설 1의 검증
4.3 가설 2의 검증
Ⅴ. 결론 및 시사점
5.1 연구 결과의 시사점
5.2 연구 한계 및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원준 Won-jun, Lee. 청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