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연구]

GVC가 경제성과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Impacts of GVC(Global Value Chain) on Economic Performances

유진만, 곽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mpacts of GVC(Gloval Value Chain) on economic performance are decreasing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7, Korean economy which has developed by active GVC participation, could be highly influenced by this change. This study compares productivity,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GVC participation etc. among major countries and analyzes how GVC participation affects economic performances. We show that OECD and high-income countries have high productivity and technology, and a comparative advantage in all industries except low-level industry. In case of GVC participation by technology level, forward participation is higher in high and mid-high industries; backword participation is higher in mid-low and low industries. In addition, we find that GVC participation has positive impacts on productivity, total and value-added exports. Particularly forward participation of high and high-mid industries, and backward participation of mid-low and low industries play a role in productivity improvement. Therefore, Korea is required active GVC particip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pecially in need of high forward GVC participation of high and mid-high industries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한국어

GVC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그 성장세가 정체되며 세계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 가 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적극적인 GVC 참여로 성장해온 한국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국의 생산성, 국제경쟁력, 기술수준, GVC 참여도 변화 등을 비교분석하고 GVC 참여와 경제성과 간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 과 OECD 회원국, 고소득국의 생산성과 기술수준이 타 그룹에 비해 높았고, 저위 산업을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비교우위에 있었다. 기술수준별 GVC 참여도의 경우 고위, 중고위 산업에서는 전방참여가 중저위, 저위 산업에서는 후방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GVC 참여 가 경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GVC 참여는 생산성, 총액 및 부가가치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며, 특히, 고위, 중고위 산업에서는 전방참여, 중저위, 저위 산업에서는 후방참여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요인이었다. 즉, 한국이 앞으로 지속적 인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GVC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하며, 특히 생산성 향상을 위해 고위, 중고위 산업에서의 전방참여도를 더욱 높일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최근 동향
3.1 생산성 변화
3.2 국제경쟁력 변화
3.3 기술(특허) 변화
3.4 GVC 변화
Ⅳ. 실증분석
4.1 연구모형 및 데이터
4.2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5.1 연구결과 요약
5.2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진만 Jin-Man Yoo. 충남대학교 과학기술지식연구소 연구교수
  • 곽지훈 Jihun Kwak. 한양대학교 빅데이터 기반 사회경제 정책 분석 교육연구팀 박사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