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헤이안문학에 나타난 향도(香道)와 다키모노(薫物)

원문정보

Takimono and Koudo that appeared in Heian literature

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Tale of Genji,” Murasaki Shikibu produced the highest-quality incense of the time by competing for the incense of women living in Rokujoin, the residence of Hikaru Genji.The scents were “baika,” “Kurobo,” “Kayo” and “jiju”. These four scents later became the archetype of the “mukusanotakimono,” the representative fragrance of Japanese incense.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four types of perfumery methods, owners, and incense materials contained in the oldest existing introduction to perfumery, “Kujuruisho.”To sum up their characteristics, the class that first created and appreciated incense and taught the secret method was limited to some royal families and to the very top class. Second, they produced seasonal scents to suit the four seasons of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Third, the secret method of the Heian period incense, which is considered legitimate in each family, was handed down as a secret, but since the amount of ingredients of incense of the same name was slightly different, a completely different scent was created by the blending method.

한국어

『겐지 이야기(源氏物語)」에서 무라사키시키부는 히카루겐지(光源氏)의 저택인 로쿠조인(六条院)에 사는 여성들의 향 겨루기를 통해 당대 최고 수준의 향을 제조했다. 그 향은 ‘바이카(梅花)’와 ‘구로보(黑方)’, ‘가요(荷葉)’, ‘지주(侍従)’였다. 이 네 가지 향은 이후 일본 향도의 대표적 다키모노인 ‘무쿠사노타키모노(六種の薫物)’의 원형(原型)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 최고(最古)의 다키모노 입문서인『군주루이쇼(薰集類抄)』에 수록된 네 가지 다키모노의 조향법과 소유자, 그리고 향재(香材)에 대해 고찰했다. 그 특징을 정리하면, 첫째, 다키모노를 만들고 감상하며 그 비법을 전수하는 계층은 일부 왕족과 왕족일가로 극히 최상위층으로만 제한되어 있었다. 둘째, 춘하추동이라는 사계절의 감각에 맞추어 시즌별 향을 제조했다. 당시 헤이안 귀족들은 사계(四季)라고 하는 계절감에 맞는 와카(和歌)를 읊고 가사네이로메(かさね色目)라고 하여 춘하추동 시즌별 색채가 있는 의복(裝束)을 입고 계절감 있는 향을 태우는 것이 유직고실(有職故実)의 기본이었다. 셋째, 헤이안 왕조의 다키모노는 각 가문마다 정통이라고 여겨지는 비법이 비전으로 전승되었는데, 동일한 이름의 다키모노라도 재료의 분량이 미묘하게 다르기 때문에 그 배합법에 따라 전혀 다른 향이 연출되었다. 『군주루이쇼』에 따르면 다키모노의 주 재료는 침향이었으며 그 외 백단과 정향, 갑향, 훈륙, 사향 등의 향이 다양하게 배합되었다. 다키모노의 향 재료는 모두 한의학에서 본초로 사용되는 주요 약재이기도 했다

일본어

『源氏物語』で紫式部は光源氏の邸宅である六条院に住む女性たちの香を競うことで当代最高水準の香を製造した。その香りは「梅花」と「黒方」、「荷葉」、「侍従」だった。この4つの香りは、その後、日本の香道の代表的な薫物である「六種の薫物」の原型となった。本論文では、現存最古の薫物入門書である「薰集類抄」に収録されている4種類の薫物の調香法と所有者、そして香材について考察した。その特徴をまとめると、まず薫物を作って鑑賞し、その秘法を伝授する階層は一部の王族と王族一家で、極めて最上位層だけに限られていた。第二、春夏秋冬という四季の感覚に合わせてシーズン別香りを製造していた。当時、平安貴族たちは四季という季節感に合った和歌を詠み、かさね色目といって春夏秋冬シーズン別色彩のある装束を着、季節に合った薫物をたくことが有職故実の基本だった。第三、平安王朝の薫物は各家ごとに正統とされる秘法が秘伝として伝承されたが、同じ名前の薫物でも材料の分量が微妙に異なるため、その配合法によって全く異なる香りが演出された。「薰集類抄」によると、薫物の主な材料は沈香であり、その他白檀と丁子、甲香、薫陸、麝香などが多様に配合された。

목차

<要旨>
Ⅰ. 머리말
Ⅱ. 헤이안조(平安朝)의 다키모노(薫物)
Ⅲ. 『군주루이쇼(薰集類抄)』와 다키모노
Ⅳ.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

저자정보

  • 김영 KIM YOUNG . 대구한의대학교 기초교양대학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