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육과 ESG의 상호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원문정보

An Empirical Study on Mutual Influence between ESG and Education

임병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 on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ESG index and education index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we employ the vector-autoregression of ESG index and education index in Korea,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variance decomposition of ESG index and education index in South Korea, Granger causality test of ESG index and education index in South Korea using weekly data on the amount of ESG index and education index in South Korea. The sample period of ESG index and education index in South Korea is covering from January 6, 2012 to February 28, 2023. This paper showed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from basic statistic analysis, ESG index and education index in South Korea have unit roots. Secon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between ESG index and education index in South Korea. Thir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between the level data of ESG index and education index in South Korea and there is at least one cointegration between the first differential data of ESG index and education index in South Korea. Fourth, ESG index and education index in South Korea is 0.349239. In addition, we find that ESG indexI granger cause the education index in South Korea.

한국어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로 고대로부터 경제뿐만이 아니라 문화, 사회, 정치, 기업경영, 경 영성과 등 다양한 방면에 영향을 미치어 왔다. 교육은 성장과 저축 및 기술의 진보로 시간의 흐름 에 따라 경제성장과 생산량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업경영의 패러다임이 친환경에서 환 경을 필히 지키어야 하는 필환경으로 전환됨에 따라 최근에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ESG가 더욱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ESG의 빠른 확산으로 기업경영과 사회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 라서 이 연구에서 2012년 1월 6일부터 2023년 2월 28일까지 ESG 지수와 교육을 나타내는 교육 지 수 582개의 주간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ESG가 교육에 상호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 다. 문헌적인 연구방법을 통하여 통하여 교육과 관련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였고. 실증적인 연구방법 을 통하여 시계열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ESG 지수와 교육지수의 단위근 검정, 변수간 장기 적이고 안정적인 관계의 존재여부판정을 위한 ESG 지수와 교육지수의 공적분(cointegration)검정, 변수간 상호 영향 분석을 위한 ESG 지수와 교육지수의 VAR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 법과 ESG 지수와 교육지수의 충격반응 분석 및 Granger Causality 검정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ESG 지수와 교육지수에 관한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지수와 ESG 지수의 주간 자료 수준변수에 대한 안정성검정 결과는 불안정적으로 나 타났다. 둘째, 교육 지수와 ESG 지수의 주간 자료 제1차 자연로그 차분 시계열 자료에 안정성검정 결과는 모두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 지수와 ESG 지수의 주간 자료 간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ESG 지수와 교육 지수 주간 시계열 자료 간의 상관관계는 0.349239로 나타났으나, 교육 지수 분산 분해에서 교육 지수의 변화는 교육 지수 자체의 내재적 변 화가 99% 이상을 설명하고 있고, ESG 지수 지수의 설명력은 1% 미만을 설명하고 있다. 반면에 ESG 지수 분산 분해에서 ESG 지수의 변화는 ESG 지수 자체의 내재적 변화가 22% 이상을 설명하 고 있고, 교육 지수의 설명력은 77% 이상을 설명하고 있다. 다섯째, ESG 지수의 변화는 교육 지수 의 변화에 1% 유의수준에서 그레인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교육의 경우 ESG의 변화에 교육 후행적으로 따라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후에는 ESG의 변화에 앞서 ESG 교육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목차

초록
Ⅰ. 머리말
Ⅱ. 문헌연구
Ⅲ. 연구자료 및 연구모형
1. 연구자료
2. 연구모형
Ⅳ. 실증연구 결과분석
1. 기초통계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2. 단위근과 공정분 검정결과 분석
3. VAR 모형 검정결과 분석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병진 Yim, Byung Jin. 영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