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Legal provisions in Korea that prohibit workplace harassment are designed based on the premise of autonomous responses within individual workplaces. Autonomous response refers to a system of measures and actions that prevent, judge, respond to and follow up on workplace harassment based on internally set rules of each workplac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autonomous responses to harassment in workplaces,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concept and establish appropriate intervention procedure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as ways to improve relevant laws and policies. First, the system allowing workplaces to autonomously handle workplace harassment needs to be continuously strengthened. In particular, measures should be put in place to encourage organic discussions and solution of workplace harassment within organizations. Second, the scope of the law prohibiting workplace harassment needs to be adjusted to cover workers in subcontract relationships, special types of workers, sailors, workers in small workplaces, and participants in job training, and properly support them in this regard. Third, various government support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for small businesses. Particularly, the government should work to develop each workplace’s ability to properly handle workplace harassment cases. Fourth, training and utilizing experts in handling workplace harassment are necessary. Those responsible for handling such cases should improve their competency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and be recognized as experts in this field.
한국어
직장 내 괴롭힘 금지 제도는 ‘사업장의 자율적 대응체계’를 전제로 설계된 제 도다. 자율적 대응 방식은 문제가 발생하면 사업장 내부적으로 설계한 체계에 따라서 예방, 판단, 조치, 사후 대응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의미한다. 실효성을 높 이기 위하여 개념을 명확히 하고 적절한 수준의 개입 방안과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입법 정책적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째, 사업장의 자율적 대응 체계는 지속적으로 강화될 필요가 있다. 특히, 직장 내 괴롭힘 문제가 조직 내에서 자연스럽게 논의되고 해소될 수 있는 방안이 마 련되어야 한다. 둘째, '직장 내 괴롭힘 금지' 규정의 적용 범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원-하청 관계의 근로자,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선원, 소규모 사업장의 근로 자, 일경험 참여자 등에 대한 적용 및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취약 사업장에 대한 정부의 다양한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직장 내 괴 롭힘' 사건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 째, '직장 내 괴롭힘' 전문가의 육성 및 활용이 필요하다. 교육 프로그램 참여 등 을 통해 역량을 향상시키고,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직장 내 괴롭힘의 자율적 대응체계
Ⅲ. 직장 내 괴롭힘의 적용범위 확장
Ⅳ. 결론 - 입법・정책적 개선방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