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특집 : 순천 선암사의 역사, 건축, 공예

조선후기 선암사의 역사와 문화

원문정보

History and Culture of the Seonamsa in Late Joseon Dynasty

탁효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examines the historical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Seonamsa Temple in Suncheon and focuses on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onamsa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is paper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onamsa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to five categories. Firs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eonamsa Temple conducted a total of three reconstructions, and the work of honoring the temple steadily developed once the reconstruction was completed. Seco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eonamsa Temple was maintained as a Cheongheo-lineage temple. The Seonamsa Temple may have been established as a temple of the Soyo sect of the Cheongheo-lineage after the presidency of Chimgoong Hyeonbyeon. After the Hoam Yakhyu, the Dharma lineage of the Soyo sect was cut off and afterwards Hwanseong group, among the Pyeonyangs of the Cheongheo-lineage, led the temple operation. Namam group, Byeokpa group, and Cheolgyeong group, which are counted as the three major schools of the Seonamsa Temple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modern times, were all composed of the descendants of Hwanseong Jian among the Cheongheo-lineage. Third, in the Seonamsa Temple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as a widespread climate in which Avatamska studies were promoted and the Seon style of ascetic practice was established. Chimgoong Hyeonbyeon played a huge role in creating this atmosphe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eonamsa Temple held a high status as a representative temple of Honam until modern times, as famous sutra masters were successively born from the Seonamsa Temple. In addition, due to the climate emphasizing the practice of Seon meditation by successive Seon masters of the Seonam Temple, Chiljeon Seonwon in the Seonam Temple was so famous that it was counted as one of the four great Seon Centers of Joseon Dynasty. Fourth, the Seonamsa Temple was designated as a royal temple in recognition of its role as a prayer center for the birth of a prince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Chukseongjeon, which is currently used as Janggyeonggak, is presumed to be a Royal Buddhist Temple built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Fifth,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eonamsa Temple suffered considerable economic difficulties while taking charge of the royal family and governor’s district. The Seonamsa Temple oversaw not only the duty of paying paper, but also the role of charging duty of the monks of the Bukhansanseong Fortress and Namhansanseong Fortress and providing paper mulberry trees to Jeolla Provincial Offi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eonamsa Temple suffered many difficulties due to war, fire, and miscellaneous work. However, through the tireless efforts of the monks to protect the temple and carry on the tradition of training, it continued to exist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les of Honam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n modern times, as it settled in the middle of the conflict between the Jogye Order and the Taego Order, it suffered many adversities. The Seonamsa Temple is preparing for a second leap as the Supreme Court ruled in 2022 that the ownership of the Seonamsa Temple belonged to the Taego Order.

한국어

이 논문은 순천 선암사의 역사적 유래를 살펴보고, 조선후기 선암사의 변화를 중점적 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선암사의 특징을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선암사는 임진왜란 이후 총 세 번에 걸친 중창 불사를 진행하였고, 중창이 완료 될 때마다 사찰을 현창하는 작업을 꾸준히 전개하였다. 둘째, 조선후기 선암사는 청허계 사찰로 유지되었다. 선암사는 침굉 현변이 주석한 이래 청허계 소요파 사찰로 자리 잡는 듯 했으나 호암 약휴 이후 소요파의 법맥이 끊어지 고, 이후에는 청허계 편양파 중에서도 환성문도들이 사찰 운영을 주도하였다. 조선말~근 대 선암사의 3대 문파로 꼽히는 남암문도, 벽파문도, 철경문도는 모두 청허계 편양파 중에서도 환성 지안의 법손들로 구성돼 있었다. 셋째, 조선후기 선암사에는 화엄학이 진작되고 수행선풍이 정립되는 풍토가 만연하였 다. 이러한 분위기가 형성된 데에는 침굉 현변의 공이 매우 컸다. 아울러 저명한 강주들 이 연달아 배출되면서 선암사는 근대까지 호남을 대표하는 사찰로서 높은 위상을 차지하 고 있었다. 또한 선암사 역대 선사들의 참선수행을 강조하는 풍토로 인해 선암사의 칠전 선원은 조선의 4대 선원의 하나로 꼽힐 정도로 명성이 높았다. 넷째, 선암사는 정조대 왕자탄생 기도처로 역할한 공로를 인정받아 왕실원당으로 지 정되었다. 현재 장경각으로 사용되는 축성전은 정조대에 지어진 원당 건물로 추정된다. 다섯째, 조선후기 선암사는 왕실과 감영의 종이 공급 사찰로 역할하였다. 선암사는 지역(紙役)뿐만 아니라 남·북한산성의 의승번역, 전라감영에 닥나무를 마련해주는 잡역 까지 담당하였고, 그로 인해 상당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조선후기의 선암사는 전란과 화재, 잡역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사찰 을 수호하고 수행전통을 이어가고자 하는 승려들의 노력으로 조선말까지 호남을 대표하 는 사찰의 하나로 명맥을 이어나갔다. 현대에 들어 조계종-태고종 분규의 한복판에 자리 잡게 되면서 많은 역경을 겪었지만 2022년 선암사의 소유권이 태고종에 있다는 대법원 의 판결이 내려지면서 선암사는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선암사의 창건과 고려시대의 선암사
Ⅲ. 조선시대의 선암사
Ⅳ. 근현대의 선암사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탁효정 Tak, Hyo-Jeong.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