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교화이론에 기초한 초등 교과서 단원분석 : 실과 진로·직업단원 중심으로

원문정보

Analysis of Career Unit Based on the Elaboration Theory : Focusing on 2015 Practical Arts Textbooks

김남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system of career and vocational units in practical arts textbooks reflecting the trend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is study, 9 experts in practical arts held 8 expert meetings to develop evaluation index and analyze textbooks. In the first stage, a career education analysis framework was created through an expert meeting, and in the second stage,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of the elaboration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largely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lack of strategic support for learning methods or capacity building within the subject un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text strategy in which the presentation and solution of specific ideas, the application of technology and philosophy are simultaneously incorporate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concepts, procedures, and theoretical elaboration was somewhat lack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orrow some of the sequence of NCS. Third, all six types of textbooks explain the criteria for job selection limited to individual aptitudes,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 the contents of community ethic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실과교과서 진로·직업 단원을 Reigeluth의 정교화이론 에 기초하여 내용체계를 분석하고, 차후 교과서 집필 시 고려해야 할 점을 탐색하는 데 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기준안 개발 및 교과서분석을 위하여 실과교과 전문가 9인 을 대상으로 8회의 전문가회의를 진행하였다. 1단계(1~4회) 전문가회의를 통하여 실 과교과서 진로·직업 단원의 분석틀을 제작하였으며, 2단계 분석(5~8회)을 통하여 교과 서를 분석하였다. 정교화이론의 분석틀에 따른 이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전략적 측면에서 교과 단원 내에 학습방법이나 역량강화에 대한 구 체적인 지원내용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단원 내용상에서 구체적인 아이 디어의 제시와 풀이, 기술의 적용과 철학이 동시에 녹아있는 텍스트 전략을 QR코드 같 은 교육공학적 방법을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계열성 측면에서 Reigeluth가 제시한 정교화이론 중 수업정교화 유형으로 지적한 개념, 절차, 이론적 정교화에 대한 적용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교과 단원편성에 있어서 산발적이고 분 절적인 단원편성 보다는 NCS가 제시하는 직업모듈의 계열성을 일부 차용할 필요가 있 다. 셋째, 내용적 측면에서 6종 교과서 모두가 직업선택에 대한 기준을 개인의 소질, 특 성, 흥미에만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학습내용과 전략에 있어서 공익적 성격의 직 업윤리에 대한 내용이 다소 빈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지속가능한발전’ 가치를 실현하는 중핵 교과로서 학생들의 공익적 가치관이 작동하도록 직업윤리에 대한 텍스트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실과교과의 방향, 성격, 목표, 내용
2. 초등학교 진로교육
3. 실과교과서의 진로·직업단원
4. 정교화이론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내용
2. 연구절차
3. 분석방법 및 분석도구
Ⅳ. 연구결과
1. 실과교과서 진로·직업단원의 외적 분석
2. 실과교과서 진로·직업단원의 내적 분석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남경 Gim, Nam-gyeong.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직부 객원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