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sultant Attitude Factors in the Field of Digital Transformation
초록
영어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s rapidly emerging in industries and academia, including finance and logistics, and the consulting market for digital transformation is also growing.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need for digital transformation is also mentioned in consulting institutions. In this process, the role of consultants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attitude toward customers are emphasized. However, consulting research has the point that research on this has not been studied in dept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lement of attitude focusing on consultant attitudes in the field of digital transformation. As a result of research using literature analysis and modified Delphi techniques, ‘customer orientation’, achievement orientation’, professional dignity’, ‘maintenance of expertise’, and ‘ethics’ were found to be key attitude fact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onsultant attitude element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field were explored and developed by verifying content validity, and consultants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field ca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ttitude and use it as a basic tool for capacity improvement.
한국어
디지털 전환은 금융, 물류 등을 포함한 산업계, 학계에서 급부상하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 분야에 관한 컨설팅 시장 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컨설팅 기관의 디지털 전환에 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컨설턴 트의 역할은 시대에 맞게 변화되어야 하며, 고객관계관리, 고객에 대한 태도가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컨설팅 연구는 이에 관 한 연구가 심도 있게 연구되지 않은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분야의 컨설턴트 태도에 초점에 맞춰 태도의 요 소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문헌분석과 수정된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한 결과, ‘고객지향성’, 성취지향성‘, 전문가 품위’, 전문성 유지‘, 그리고 ’윤리성‘ 등이 핵심 태도 요소인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맞게 디지털 전환 분야의 컨설턴트 태도 요소를 탐색적이며,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개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디지털 전환 분야의 컨설턴트는 실무적으로 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역량 향상의 기초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디지털 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
2.2 컨설턴트 역할의 변화
2.3 컨설턴트 태도에 관한 문헌고찰
3. 연구방법
3.1 연구절차
3.2 연구대상
4. 연구결과
4.1 태도 요소 문헌고찰 결과
4.2 준거 척도 도출 결과
4.3 태도 요소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