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Manufacturing Technique of the Buddhist Monk Bodhidharma Mural Painting in Geungnakjeon Hall, Daewonsa Temple, Boseong
초록
영어
The manufacturing technique was studied through the structur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Monk Bodhidharma mural painting in Geungnakjeon Hall, Daewonsa Temple. The mural is painted connected to the earthen wall and the Joongkit. The earthen wall consists of an first layer, a middle layer, a finishing layer, and a painting layer. It was come to light that the first layer had a high content of loess below silt, and the finishing layer had a high content of fine sand. The painting layer was colored after preparing a ground layer using a soil mineral pigment. It was come to light that he Buddhist Monk Bodhidharma mural painting was created with the same technique as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mural painting in Geungnakjeon Hall. The murals inside Geungnakjeon Hall belong to a category similar to the Joseon Dynasty’s buddhist mural painting (made of earthen) manufacturing style, but characteristic factors were found in the high fine sand content of the finishing layer, the condition of plastering according to the surface finishing technology, and the painting technique of the Joongkit. It is expected that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as an important indicator for monitoring the conservation status of murals inside the Geungnakjeon Hall of Daewonsa Temple in the future.
한국어
대원사 극락전 달마대사 벽화에 대한 구조와 재질 특성을 통해 제작기법을 연구하였다. 벽화는 흙벽과 중깃 부재에 연결되어 그려져 있으며, 벽체는 외가지를 골조로 초벽층과 중벽층, 마감층 그리고 채색층으로 구성되어있다. 초벽층은 실트 이하의 황토 함량이 높으며 마감층은 세립사 크기 토양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채색층은 토양성 광물 계통의 안료를 사용하여 바탕칠층을 마련한 후 채색하였다. 달마대사 벽화는 극락전 내 관음보살 벽화와 동일한 제작기법으로 조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원사 극락전 내부의 벽화는 흙으로 조성된 조선시대 사찰벽화 제작양식과 유 사한 범주에 속하나 마감층의 높은 세립사 함량, 표면 마감기술에 따른 미장 상태, 중깃 부재의 채색 기법 등에서 특징적인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들은 향후 대원사 극락전 내부 벽화의 보존상태 모니터링 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3.1. 벽화 현황 및 구조
3.2. 벽화 재질 특성
4. 고찰
5. 결론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