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충북 청주 오송유적 출토 초기철기시대 동사, 동검, 동경의 제작기법 및 부식특성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 and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Bronze Dirk, Bronze Sword, Bronze Mirror in Early Iron Age Excavated from the Osong Site in Cheongju

김우현, 전지민, 조남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etallography, SEM-EDS, and Raman Micro-Spectroscopy analysis were conducted on bronze dirk, bronze sword, and bronze mirror excavated from the pit tomb No. 1-1 at 12th Point of Osong Site in Cheongju to study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corrosion properties. The bronze dirk, bronze sword and bronze mirror are judged to be binary alloys of Cu(79.16∼79.89 wt%)-Sn (19.12∼20.34 wt%). The microstructure is a cast structure composed of δ phase and (α+δ) eutectoid, and no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 bronze dirk, bronze sword, bronze mirror were Type I. As a result of EDS analysis in subsurface area, tin oxide is located as a selective corrosion of (α+δ) eutectoid, and as a result of Raman Micro-Spectroscopy analysis, corrosion products of Cassiterite and Malachite were identified for the bronze dirk and Cassiterite for bronze sword and bronze mirror. The secondary metallic copper was mainly present in the hole left by corrosion of Pb particles and on the (α+δ) eutectoid, and was found to be 100.00 wt% of Cu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firming that all of them were high-purity copper.

한국어

청주 오송유적 12지점 1-1호 토광묘 출토 동사, 동검, 동경을 대상으로 금속현미경, SEM-EDS, 라만 마이크로분광분석을 실시하여 제작기법과 부식특성을 연구하였다. 동사, 동검, 동경 은 Cu(79.16∼79.89 wt%)-Sn(19.12∼20.34 wt%)의 이원계 합금으로 판단된다. 미세조직은 δ상과 (α+δ) 공석상으로 구성된 주조조직으로 어떠한 열처리 가공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부식특성을 분류 한 결과 동사, 동검, 동경은 유형Ⅰ로 확인된다. 표면 아래 영역은 EDS 분석 결과 (α+δ) 공석상의 선택부식으로 주석산화물이 위치하고, 표면부는 Raman 분석 결과 동사는 Cassiterite와 Malachite, 동검과 동경은 Cassiterite의 부식생성물이 동정 되었다. 이차생성구리는 주로 Pb입자가 부식되어 빠지고 남은 hole, (α+δ) 공석상에 존재하였고 분석결과 100.00 wt% Cu가 검출되어 모두 고순도 구리인 것을 확인하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분석 대상
3. 분석 방법
3.1. 미세조직 관찰
3.2. 부식생성물 동정
4. 분석 결과
4.1. 미세조직
4.2. 부식층
5. 고찰
5.1. 제작기법
5.2. 부식 특성
5.3. 이차생성구리의 생성
6.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우현 Woo Hyun Kim. 중앙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팀
  • 전지민 Ji Min Jeon.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조남철 Nam Chul Cho.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