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Time Series Analysis of Buddhist Painting Using Digital Image Data
초록
영어
Damage to the painting cultural heritage is recognized through visual observation, photographic data, and conservation diagnosis records, and technology that accurately understands the degree of change over time can prevent damage and be effectively used for conservation treatment. In this study, a time series analysis was conducted to diagnose and compare the conservation statu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using the digital image of Hanging Painting of Bongjeongsa Temple, Andong (The Vulture Peak Assembly) with different filming times. Color information was analyzed using a digital image analysis program. The shape information and area of crease, exfoliation of painting layer, loss of background material and contamination were calculated using the Relief, Threshold Switching, Color Mapping in HSV space function. Based on the calculated data, the change pattern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damage that occurred in the same area. Quantitative data such as the area of damage and the length of the object were used together to comprehensively compare and analyze the degree of improvement and change in damage that occurred throughout the work to evaluate the change over time.
한국어
회화문화유산의 손상은 육안관찰, 사진 자료, 보존상태 진단 기록 등을 통해 인지하게 되며,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정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기술은 손상을 예방하고 보존처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촬영 시기가 다른 안동 봉정사 영산회 괘불도의 디지털 이미지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보존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디지털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색상정보를 분석하고, Relief, Threshold Switching, Color Mapping in HSV space 등의 기능 으로 대상 작품의 꺾임, 채색층 박락, 바탕재 손상, 오염의 형상정보와 면적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일 영역 내 발생된 손상을 비교하여 손상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손상면적 및 대상의 길이 등 정량적인 데이터를 함께 활용하여 작품 전체에 발생된 손상의 개선 및 변화 정도 를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평가할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3.1. 이미지 형태 보정
3.2. 손상유형별 색상정보 측정
3.3. 손상정보 산출
3.4. 보존상태 비교
4. 고찰 및 결론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