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개금층 접착재료로서 옻과 캐슈의 과학적 특성 분석 및 보존관리방안 검토 :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원문정보

Scientific Characterization Analysis of Lacquer and Cashew as Adhesive Materials for Gold-gilding Layer and Consideration of Conservation Schemes : Gilt-bronze Seated Buddha at Sinamsa Temple in Dangin, Korea

양혜리, 최일규, 이찬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Gilt-bronze seated Buddha at Sinamsa temple in Dangin has an uneven in the shape the gilt, poor gloss and cracks were damaged. Such damage to the gold-gilding layer may degrad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Buddha statue, thereby promoting corrosion of the metal compound. The Buddha statue was a restoration in the 1980s, and it was highly likely that modern materials such as cashew were used as adhesive materials for gold-gilding. In the study, a conservation management plan was proposed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gold-gilding layer and adhesives. As the composition analysis, all gold-gilding layers show high Au content, so it seems that pure gold was used, and copper and tin were detected as the main alloying materials for the base metal, corresponding to a bronze. Various analyses of the gilt adhesive material, it was found that gilt was recovered using cashew. The cashew has a weaker adhesion than the lacquer, so the blistering of gold powder and gilt proceeds faster, and can cause various damages such as metal corrosion and whitening. In order to stably preserve the Gilt-bronze seated Buddha at Sinamsa temple and restore the authenticity,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cashew covering layer and perform lacquer gold-gilding.

한국어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의 개금층은 전반적으로 금박의 부착형태가 고르지 않고, 광택도 저하와 균열 등의 손상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개금층 손상은 불상의 내식성을 저하시 켜 금속화합물의 부식 등을 촉진할 수 있다. 이 금동불상은 1980년대 중수되어 개금의 접착재 료로 캐슈와 같은 현대 재료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개금층과 접착재료에 대한 재질특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보존관리 방안을 고찰하였다. 개금층은 조 성분석 결과, 모두 높은 Au 함량을 보여 순금을 활용한 것으로 보이며, 소지금속에서는 주로 구리와 주석이 검출되어 청동제 합금에 해당하였다. 개금 접착재료에 대한 다양한 물리적 및 화학적 분석결과, 캐슈를 사용하여 개금 중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슈는 옻칠에 비해 부착력이 약해 금분과 금박의 박리가 더욱 빨리 진행되며, 금속부식, 백화현상 등의 다양한 손상을 수반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금동불상의 안정적 보존과 진정성 회복을 위해 캐슈 피막층 제거 후 옻칠 개금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언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및 재료
3. 재료학적 특성 분석
3.1. 금동불상의 조성
3.2. 표면특성 분석
3.3.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분석
3.4. 라만분광분석
3.5. X-선 광전자 분광분석
3.6. 열분해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
4. 보존과학적 고찰
4.1. 재질특성
4.2. 개금방안
5. 결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양혜리 Hye Ri Yang.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최일규 Il Kyu Choi.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Chan Hee Lee.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