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전통 단청에 사용된 채색안료의 현황과 원료 특성: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Current Status and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of Painted Pigment in used Traditional Dancheong: Focused on the National-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s in Korea

황가현, 이선명, 정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of traditional Korean Dancheong pigments existing in national-designated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s was analyzed, and the current status of pigments according to the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used was statistically examined. As for the red pigment, Seokganju, Yeondan, Jusa had a high share, and natural and artificial inorganic pigments had a high usage rate. As for yellow pigments, organic pigments(estimated Deunghwang), Hhwangto, and gold showed a high share. In the case of organic pigments and gold, Yeonbaek was used as a based pigment to increase color development. As for the green pigment, Hayeob, Noerok, Samrok showed a high share. The Hayeob and Neorok are identified as a single raw material, but it can be seen that the Samrok is made by mixing copper oxides such as moolooite and lead-based white raw materials. Blue pigments have a lower share of pigments compared to other colors. As for the blue pigment, Guncheong, Hoecheong, and Seokcheong showed a high market share, and natural and artificial inorganic pigments accounted for the majority. 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use of expensive pigments such as Seokcheong and Guncheong is concentrated on the Palace Dancheong. White and black pigments have a low share in Dancheong coloring, but the white and black line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perfection of Dancheong. It can be seen that the white pigment has a high share of Baekto(white clay) and Yeonbaek, and is used not only for coloring but also as a based pigment for color pigments. Most of the black pigment is made up of more than 95% organic raw material containing carbon as its main component, and it shows various aspects depending on the lower pigment layer.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based on on-site analysis data of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that the color pigment used in Dancheong had a higher percentage of use of inorganic pigments and that the use rate of natural inorganic pigments was higher than that of artificial synthetic pigments in inorganic pigments.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를 중심으로 현장에 남아 있는 전통 단청안료 의 성분을 분석하고 사용된 원료특성에 따른 안료의 현황을 파악하여 통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적색 안료는 석간주, 연단, 주사가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것으로 천연 및 인공 무기안료의 사용 률이 높았다. 황색 안료는 유기안료(등황추정), 황토, 금이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유기안료 및 금의 경우 발색도를 높이기 위해 백색으로 밑칠을 하였는데 주로 연백 안료가 사용되었다. 녹 색 안료는 하엽, 뇌록, 삼록이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하엽과 뇌록은 단일 물질로 확인되나 삼록 은 물루아이트와 같은 구리 산화물과 납 계열 백색 원료를 혼합하여 조색한 것을 알 수 있다. 청색 안료는 다른 색상에 비해 안료의 점유율이 낮았다. 군청, 회청, 석청이 높은 점유율을 나타 내는 것으로 천연 및 인공 무기안료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군청, 석청과 같은 고가 안료의 사용이 궁궐단청에 집중되는 것이 특징이다. 백색과 흑색 안료는 단청 채색에서 점유율이 낮은 편이나 분선이나 먹선에 사용되어 단청의 완성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백색 안료는 백 토, 연백이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채색용뿐 아니라 채색안료의 밑칠 안료로 활용된 것을 알 수 있다. 흑색 안료는 먹을 주요 성분으로 한 유기 원료가 95%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하부의 채색층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이를 통해 단청에 사용된 채색안료는 무기안료의 사용비중이 매우 높고 무기안료에서도 인공 안료보다 천연 무기안료의 사용률이 높은 것을 문화재 현장 분석데이터를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3. 안료 색상별 현황과 원료특성
3.1. 적색 안료
3.2. 황색 안료
3.3. 녹색 안료
3.4. 청색 안료
3.5. 백색 및 흑색 안료
4. 고찰
5.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황가현 Hwang, Ga-hyun.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이선명 Lee, Sun Myung.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정혜영 Jeong, Hye Young. 국립문화재연구원 복원기술연구실,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