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국립기상박물관 소장 측우대의 과학적 보존처리 및 원형고찰

원문정보

Considerations on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and Original Form of Rain Gauge Pedestals Kept at the Korea Meteorological Museum of Korea

이태종, 조하진, 채승아, 박희정, 김한슬, 김다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on conditions of the Rain Gauge Pedestal of Gyeongsang Provincial Office, Daegu(National Treasure) and the Rain Gauge Pedestal of Gwansanggam, Bureau of Astronomy(Treasure) which have been kept at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re scientifically diagnosed, and the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ose artifacts was performed. The Rain Gauge Pedestal of Gyeongsang Provincial Office was made of aplite at that time but on the other hand, its bottom stone was made of medium and coarse grained grantite since 1985. The Rain Gauge Pedestal of Gwansanggam was made of medium and coarse grained granite in pale rose color, and based on petrologic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 values by magnetic susceptibility measurements, it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ain contamination on the surface of the rain gage pedestals is black contaminants which were derived from carbon, and the fiber laser was used to complete the work after dry and wet cleaning were performed. In addition, impurities caused by acrylic colors and paint were removed by the poultice method after the preliminary cleaning. In terms of consolidation as the final stage of the conservation process, the ultrasonic assessment on physical properties before and after consolidation resulted in more than 10% improvement on average. From a perspective of the original form as cultural heritage, the bottom stone of Rain Gauge Pedestal of Gyeongsang Provincial Office has been treated with mortar on the surface and its color was matched during the conservation treatment, which hinders approach to exact information of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with regard to the Rain Gauge Pedestal of Gwansanggam, there is the need to examine whether it served as a pedestal to support the rain gauge (Cheugugi), j udg ing by material c haracteristics, m anufacturing techniques o f rain g aug e holes and Donggwoldo depicting a rain gauge in the painting. Therefore,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authenticity of cultural heritage will be required by doing literature research on cultural heritage of traditional science technology, historical research on the original form and natural scientific analysis.

한국어

국립기상박물관에서 소장 중인 국보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및 보물 관상감 측우대의 재질특성 및 보존상태를 과학적으로 진단하고,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대구 경상감영측우대 는 반화강암으로 제작되었으며, 본체와 달리 받침돌은 중조립질 흑운모화강암으로 1985년 이 후 제작되었다. 관상감 측우대는 중조립질 담홍색화강암으로 암석학적 재질특성 및 전암대자 율 특성 조건을 검토할 시 조선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측우대의 주된 표면오염은 탄소기원의 흑색오염물이며, 건⋅습식 세척 후 파이버레이저로 마무리하였다. 또한 아크릴물 감 및 페인트 이물질은 습포법 등 예비세척을 진행한 후 제거하였다. 마지막 공정인 강화처리 는 처리 전⋅후 초음파 물성평가 결과, 평균 10%이상 물성이 개선되었다. 문화재 원형측면에서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의 받침돌은 모르타르로 표면처리한 후 색 맞춤을 진행하는 등 문화재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을 저해하고 있다. 또한 관상감 측우대는 재질특성 및 측우기 홈의 제작 기법, 동궐도의 측우기 그림 등을 검토할 시 측우기를 받치는 대(臺)의 역할이 맞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통과학기술문화재에 대한 문헌 조사와 원형 고증, 자연과학적 분석 조사 를 진행하여 유물의 진정성을 확립하는 계기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방법
3. 보존상태 조사 분석
3.1. 재질특성
3.2. 표면오염물 분석
4. 보존처리
4.1. 표면오염물 제거
4.2. 균열부분 충전
4.3. 강화처리
5. 측우대의 원형고찰
5.1. 경상감영 측우대
5.2. 관상감 측우대
6.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이태종 Tae Jong Lee.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조하진 Ha Jin Cho.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채승아 Seung A Chae.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박희정 Hee Jeong Park.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김한슬 Han Seul Kim.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김다솔 Da Sol Kim.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