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감마선 조사에 따른 염료의 색소 변이 연구

원문정보

Variation in Colourants of the Dyes by Gamma-ray Irradiation

오성민, 박혜진, 최지선, 이누리, 정용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mergency conservation of historical objects is necessary because several instances in which paintings and records were flooded owing to unusual weather condition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Early action is especially important in preventing biodeterioration in case of flood damage.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using gamma rays as a biological control method was assessed. Material stability was evaluated by applying different irradiation doses to natural dyes used in historical paintings and costumes. Sappan wood, gardenia fruit, and indigo were selected and prepared as natural dye samples using standard colorant materials. The fading behavior of the samples was analyzed by measuring their CIE L*a*b* color space values, and UV-Vis spectroscopy and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 were used to obtain their spectra. We confirmed that the dyes began to decompose upon exposure to gamma rays at a dose of 10 kGy. Irradiation at a dose of 50 kGy led to the complete decomposition of the chromophoric groups because the dye components could not be detected by LC-MS. Therefore, studying the influence of low-dose gamma-ray irradiation is necessary to preserve dye colorants.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gamma rays on historical objects.

한국어

최근 자연재해로 인해 회화류 작품과 기록물 등이 다수 침수되는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문화 재 응급보존의 필요성이 대두되는데, 특히 침수피해의 경우 단시간 내 생물열화의 위험성으로 빠른 조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방제법으로서 감마선을 선정하여 회화 및 복식류의 바 탕이 되는 천연염료에 조사선량을 달리 적용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천연염료는 소목, 치자, 쪽을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색소 표준물질에 대한 시료도 함께 제작하여 감마선 조사 전후 색차를 확인하 고 UV-Vis 및 LC-MS의 스펙트럼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감마선 조사 10 kGy부터 염료가 분해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50 kGy는 염료 성분이 검출되지 않아 염료의 발색단이 분해됨 에 따라 성질이 변이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데이터가 추후 염직물을 대상으로 한 감마선의 영향 연구에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추후 염료의 색소 성분을 보존할 수 있도록 저선량에서의 영향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연구재료
2.2. 염료 추출 및 표준 용액 제작
2.3. 감마선 조사
2.4. 평가방법
3. 연구결과
3.1. 육안관찰
3.2. 염료 분해에 따른 색 변화
3.3. 분광학적 스펙트럼 양상
3.4. 성분 분리를 통한 정량분석
4. 고찰 및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오성민 Seong Min Oh.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박혜진 Hae Jin Park.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예방보존연구소
  • 최지선 Ji Sun Choi.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이누리 Nu Ri Lee.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정용재 Yong Jae Chun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