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Technology and the Provenance Study on Gilt-Copper Crown Excavated from Tomb No.63 of the Ancient Tumuli in Gyo-dong/ Songhyeon-dong, Changnyeong
초록
영어
An excavation project conducted by the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discovered a gilt-copper crown in Tomb No. 63 of the ancient tumuli in Gyodong and Songhyeon-dong, Changyeong. This study analyzed the aforementioned crown and identified the certified group and the source of raw materials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technique. Scientific analysis confirmed that the crown was made of unalloyed copper and the surface was plated with gold and silver using the mercury amalgam technique. The gilded surface color is divided into red and yellow, and this is presumed to be due to differences in manufacturing processes such as thickness and heat treatm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it was gilded. The copper raw material used to manufacture the crown is identified as Zone 3 including Jeolla-do, Chungcheong-do, and northern Gyeongsang-do, and the origin of the raw material and excavation site are not the sam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raw materials from a different region than the excavated area of Changnyeong were used, and the possibility that these were supplied from other regions and manufactured in Changnyeong cannot be excluded.
한국어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 조사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중 도굴 되지 않은 63호분에서 금동관이 출토되었다. 고대 금동관은 권력을 상징한다는 의미 에서 다른 화려한 금속유물보다 높이 평가된다. 본 연구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 군 63호분에서 출토된 금동관을 분석하여 제작 기법에 따른 공인 집단 및 원료 산지 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과학적 분석 결과, 금동관은 합금하지 않은 구리로 제작하였 으며 표면을 수은아말감 기법으로 금⋅은 도금한 것으로 확인된다. 도금된 표면은 적색과 황색으로 구분되며 이는 도금 횟수에 따른 두께, 열처리 등 제작 공정의 차이 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관 제작에 사용된 구리 원료는 전라도, 충청도 및 경상 도 북부지역을 포함한 Zone 3로 확인되며 원료 산지와 출토지가 동일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출토지인 창녕과는 다른 지역의 원료를 사용하였던 것으로 판단되며 타 지역에서 원료를 공급받아 창녕 지역에서 제작하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3. 연구결과
3.1. 가시적 특성
3.2. 재질 특성
3.3. 산지 추정
4. 고찰
5. 결론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