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기도 혁신 클러스터의 잠재력과 발전과제

원문정보

The Growth Potential and Development Subjects of Gyeonggi's Innovation Clusters

이연희, 김명진, 정의정, 한정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novation cluster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olicy tools of governments for reinforcing national innovation competitiveness.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has constructed various innovation clusters all over the regions except the capital area on the basis of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during the last 10 years. However, Gyeonggi-do has the locational advantage because it is surrounding to capital Seoul. So,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industries, companies' R&D centers and ventures are still concentrated in Gyeonggi-do. Thus, Gyeonggi-do has politically built regional innovation clusters named Pan-Gyo- and Gwanggyo Techno Valley to support them. This study evaluates the growth potential of the Gyeonggi's innovation clusters in terms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the cluster development model, and then suggests development subjects for fostering them. Indicators of regional competitiveness, urbanization economies, and success factors of innovation clusters a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Gyeonggi's innovation clusters have a strong regional competitiveness with a lot of high-tech companies, innovation support organizations, and R&D centers. Also, the clusters can make the best use of social overhead capital, public services, consumer markets and enough workforces which are metropolitan advantages. With a great extensibility of knowledge-based services to Seoul, Gyeonggi's innovation clusters have uniquely advantages of the urbanization economies.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s three development subjects for the clusters; the assignment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al Zone, a Korean Silicon Vally and a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Network.

한국어

혁신클러스터 조성은 중앙정부가 국가혁신역량을 높이기 위해 사용해 온 대표적인 정책수단이다. 그동안 첨단의료복합단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연구개발특구 등과 같은 국가 혁신클러스터가 국가균형발전 기조 에 따라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우리나라 지식기반제조업, 기업부설연구소, 벤처기업은 여전 히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최근 경기도는 지역의 혁신수요에 대응하고 신성장동력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는바, 이들의 성장잠재력을 점검하고 국가혁신시스템 과 연계하여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본 연구는 지역혁신시스템과 대도시기반의 혁신클러스터 발전모형을 기초로 해서 판교테크노밸리와 광교 테크노밸리의 성장잠재력에 대한 수준을 진단하고 이들의 발전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혁신클러스터를 (1)지역경쟁력 측면 (2)도시화 경제적 관점 (3)혁신클러스터의 성공요인 측면으로 진 단하였다. 연구결과, 경기도 혁신클러스터는 첨단기술기반기업, 다양한 혁신지원기관과 연구소가 집적되어 있다는 점에 서 지역경쟁력은 매우 우수하며, 도시화 경제 측면에서의 혜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지식기반서비스업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해외의 성공한 혁신클러스터는 주로 국가차원에서 육성되었다는 점에서 경기도 혁신클러스터는 국가혁신시스템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정책과제로 첫째, 광교-판교-안산(반월시화) 지역을 연구개발특구로 지정하고 둘째, 판교-기흥-이천을 잇 는 한국형 실리콘밸리를 구축하며 셋째, 대덕-판교-서울을 연계하여 기술사업화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도시형 혁신클러스터의 성장잠재력을 진단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정량적 데이터를 활용 하려고 시도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지나 입지와 인프라 조성에만 국한되었다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향후에는 혁신클러스터 내 대학, 연구소, 기업 등 활동주체들 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혁신이 일어날 수 있는 잠재력을 평가하는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국문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경기도 혁신클러스터 성장 잠재력 진단
Ⅳ. 경기도 혁신클러스터 한계와 발전과제
Ⅴ.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이연희 Yeonhee Lee.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정책연구본부 책임연구원
  • 김명진 Myung Jin Kim.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정책연구팀 선임연구원
  • 정의정 Eui-Jeong Jung.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정책연구팀 선임연구원
  • 한정숙 Jeong-sook Han.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정책연구팀 책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