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의 인간관계,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토착문화심리적 분석

원문정보

Human relationship,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ical analysis

장우귀, 박영신, 김의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human relationship,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ical analysis. A total of 144 respon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and Kim (2007).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quality of life are influenced by their relationship and support of their parents and friends. There is no influence of teachers on their quality of life. Second, those students who perceive their parents to be warm, to receive greater emotional support from them, and perceive higher achievement pressure from them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quality of life. Those students who perceive their parents to be hostile are more likely to have lower quality of life. Third, those students who receive greater emotional support and have a warm relationship with friends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quality of life. In contrast, students who feel bullied by others are more likely to have lower quality of life. Fourth, those students who perceive their professors to be hostile are more likely to have lower quality of life. Finally, students with higher self-efficacy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quality of lif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인간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토착문화심리적인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대학생의 부모, 친구, 교수와의 관계와 삶의 질의 상관을 검토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대학생 144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박영신과 김의철 (2007)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간관계 중에서 부모가 대학생의 삶의 질에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그 다음이 친구관계인 것으로 나타났고, 교수와의 관계는 대학생의 삶의 질과 거의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가 애정적 양육태도를 지니고, 정서적 지원을 많이 하며,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대학생 자녀의 삶의 질이 긍정적이었다. 또한 부모가 거부적이거나 적대적일수록 대학생의 삶의 질이 낮았다. 셋째, 친구로부터 정서적 지원을 받고 애정적인 관계를 유지할수록 대학생의 삶의 질은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친구로부터 따돌림을 받을수록 삶의 질이 낮았다. 넷째, 교수와의 적대적인 관계는 낮은 삶의 질과 관련이 있으나 대부분의 하위변인에서는 무상관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Ⅱ. 이론적 배경
  1. 삶의 질에 대한 연구
  2. 자기효능감의 개념
  3. 자기효능감의 영향
 Ⅲ. 연구방법
  1. 분석대상
  2. 측정도구
  3. 실시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대학생의 부모자녀관계와 삶의 질
  2. 대학생의 친구관계와 삶의 질
  3. 대학생의 교수학생관계와 삶의 질
  4.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Ⅴ. 논의 및 결론
  1. 인간관계와 삶의 질
  2.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3. 기타 논의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우귀 Jang, Woo-Giy. 인하대 대학원 교육학과
  • 박영신 Park, Young-Shin. 인하대 교육학과 교수
  • 김의철 Kim, Ui-Chol. 인하대 경영학과 IFP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