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混合學習(Blended-Learning)에 대한 評價準據

원문정보

Research into Characteristic and Evaluation Conformityin Problem Based Blended-Learning Modelsfor Teacher Training

혼합학습에 대한 평가준거

김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w it's time for a new paradigm in education. This research has combined blended learning and problem-solving learning. Even though re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re increasingly required, the limited time and space prevents us from doing retraining programs. To solve this problem, blended learning was naturally introduced. Th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were designed to get the best educational result in learner-based learning by emphasizing problem-solving method to increase learners' interests, participation, interaction, and thinking ability. this research applied blended learning to the problem-solving method only. It was dome for teachers, so it must be modified when implemented in the classroom.When blended learning was implemented, learners' activities, teachers' activities and blended learning were integrated throughout specific teaching plans according to the stages of the model. A teaching plan for "A new proposal of Promotion System for Principals" was made to specify the problem-solving method, which is blended learning. The procedure of blended learning based on problem solving can be adapted according to the topic and the trait or to the circumstances of the problem.To prove the reliability of blended learning, the experiment group was given questionnaires to measure validity and usefulness.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시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실현시킬 수 있는 혼합학습(Blended-Learning)과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결합을 시도하였다. 문제중심 혼합학습 모형의 실제 활용에 대해서는 모형의 단계별로 학습자 및 교수자 활동, 그리고 혼합학습 전략이 구체화된 세부 수업지도안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문제중심 혼합학습의 절차는 주제 및 문제의 특성, 상황에 따라 변형이 어느 정도 가능하며, 수업지도안의 작성 역시 상황에 따라 각 단계 및 활동이 부분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혼합학습 수업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에게 모형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설문조사한 결과,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혼합학습 수업모형이 혼합학습의 개념과 활동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본 모형을 교육현장에 적용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수업이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충족시키면서 다양하고 적극적인 교육활동을 구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혼합학습의 평가준거
  1. 평가의 특성과 구성
  2. 평가준거와 방향
 Ⅲ.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걸 Kim, Keul. 서울시 용산구 용산동2가 2-1 용산고등학교 교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