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Users
초록
영어
According to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as applied to this study, all humans have psychological needs fo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Based on these three psychological need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161 program participants among Deungchon welfare center users were analyzed to empirically verify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As a result, firstly, perceived autonom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 o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 negative effect (-) on life satisfaction. Secondly, perceived compet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 with self-efficacy,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ly, perceived related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 o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 negative effect (-) on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revitaliz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o play the role and function of community welfa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utilize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self-efficacy based on the survey and analysis of welfare program user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기본심리욕구 이론에 의하면 모든 인간에게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심 리 욕구가 있으며 3가지의 심리 욕구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등촌동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민 의 복지관 이용자 중 프로그램을 참여하고 있는 161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각된 자율성은 자기효능감 과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삶의 만족도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 각된 유능성은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지각된 관계성은 자 기효능감과 심리적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삶의 만족도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복지 기능과 역할을 해내기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복지프로그램의 이용자를 중심으로 삶의 만족도와 연계적인 측면에서 조사 분석하여 자기효능감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 요구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Ⅱ. 용어의 정의
2.1 기본 심리 욕구
2.2 자기효능감
2.3 삶의 만족도
2.4 심리적 안녕감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3.3 연구도구
3.4 조사내용
3.5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4.1 조사대상자 인구사회학적 특성
4.2 PLS구조방정식 모형
4.3 측정모형(Measurement Model) 검증
Ⅴ. 고찰
Ⅵ.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