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貴州 지역의 ‘淸水江文書’를 활용한 한·중 학계의 연구 현황

원문정보

Research by Korean and Chinese Academics Using Qingshuijiang Documents from Guizhou, China

중국 귀주 지역의 ‘청수강문서’를 활용한 한·중 학계의 연구 현황

박찬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Qingshui River served as a route for local ethnic minorities engaged in forestry to transport timber to major commercial areas in China. The Qingshuijiang Documents contain not only forestry-related contracts, but also various everyday contracts. Through the local ethnic minorities' daily lives and contractual relationships depicted in these documents, their own social order is gradually being revealed. However, the discussion of how the reveale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ethnic minorities are related to ‘China’ seems to be proceeding separately from the publication of the document collection. Depending on how one understands ‘China,’ the perspective on viewing the society of the Qingshui River Basin is predetermined even before reading the Qingshuijiang Documents. In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researchers have consistently pursued historical research with the Qingshui River Basin as a backdrop. They have mainly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presentative ethnic minority in the area, the Miao people, and the Ming and Qing dynasties. Research interest has been concentrated on the conflicts and reconciliation between national power and ethnic minority society. On the other hand, for Chinese researchers, Chinese history is ‘national history.’ In this paper, it is analyzed that even if Chinese research on the Qingshui River Basin does not neglect the region's specificity, there is a tendency in the conclusion of works to mention the fusion into ‘China.’ The way of historical narration that aims to constitute the ‘nation’ is a common problem and an unavoidable issue in the historical narratives of any country. Therefore, discussing which historical narration method is absolutely the correct one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of historical research becomes a detached public discourse.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ingshui River Basin and ‘China’ is clearly contrasted, and how to narrate the history of the bilateral relationship becomes a way to constitute the current ‘China.’ Depending on how ‘China’ is constituted, the legitimacy of the current unity of China can be measured, so the Qingshui River Basin can also be seen as another battleground for historical research.

한국어

청수강은 임업에 종사하는 현지 소수민족들이 벤 나무를 중국의 주요 상업 지대까지 흘려보내는 루트였다. ‘청수강문서’에는 임업에 관련한 계약 문서뿐 만 아니라 일상의 다양한 계약 문서들도 많다. 이들 문서에 담긴 지방 소수 민족의 일상생활과 계약 관계 등을 통해 그들 나름의 사회 질서가 점차 밝혀 지고 있다. 그러나 청수강 유역의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은 ‘중국’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따라 ‘청수강문서’를 열람하기 이전에 미리 예정되어 있는 것처 럼 읽힌다. 한국 학계에서 일단의 연구자들이 꾸준히 귀주 청수강 유역을 배경에 두고 역사 연구를 이어왔다. 주로 이 지역의 대표적 소수민족인 묘족이 명·청대 왕조와 어떠한 길항을 겪었는가에 집중하여, 국가권력과 소수민족 사회의 갈 등과 봉합에 관해 연구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반면, 중국인 연구자들에게 중국사는 ‘國史’이다. 본고에서는 중국의 청수강 유역 연구가 지역의 특수성을 좌시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저작물의 결론에는 ‘중국’으로의 융합을 언급하는 서술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했다. ‘국민’을 구성해 내려는 국사 서술 방식이 갖는 일반적인 문제이며 어느 나라의 국사 서술도 피할 수 없는 문제일 것이다. 따라서 무턱대고 어떠한 역사 서술 방식이 절대적으로 ‘올바른 서술’인가를 논하는 것은 역사 연구의 현실 상황과 동떨어진 공론이 된다. 중요한 것은, 청수강 유역이라는 지역과 ‘중국’의 관계 설정에 관한 시각이 뚜렷하게 대비되고 있으며, 어떻게 양자간 관계의 역사를 서술하는가가 곧 현재의 ‘중국’을 구성하는 방식이 된다는 점 이다. 구성해 내는 ‘중국’의 모습이 어떠한가에 따라 현재 중국의 통일성이 얼마나 정당한가가 가늠되므로, 청수강 유역 역시 또 하나의 역사 연구의 격 전장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淸水江文書’와 ‘淸水江學’에 대해
Ⅲ. 淸水江文書 연구 현황
1. 중국의 연구 현황
2. 한국의 연구 현황
Ⅳ. 淸水江과 ‘중국’의 사이 : 연구의 목표인 ‘중국’
1. 중국 학계의 서술 특징
2. 한국 학계의 서술 특징
Ⅴ.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 박찬근 Park, Chan-Guen. 연세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