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new golf popul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golf wear market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of the new golf wear rental service. [Method] To this end, golfers in their 20s and 30s within three years of starting golf were set as the population, and five golf courses in Gyeonggi-do were visited to conduct a survey, and at the same time,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online golf community. A total of 364 copies of data were obtained to derive the result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nsumption value of golf wear rental service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onsumption value of golf wear rental service had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Third,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the golf wear rental service had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Conclusion] For the new golf population, golf wear rental services are recognized as practical and worth enough to reveal their individuality, and as they are expected to continue to use them, continuous service management for rental services will be needed.
한국어
[목적] 이 연구는 신규골프인구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골프웨어 렌탈서비스에 대한 소비가치, 만족, 지속이용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신규골프인구의 소비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골프웨어시장의 마케팅전략을 수립하 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골프를 시작한지 3년 이내의 20대와 30대 골퍼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경기도에 소재한 골프장 5개소를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함과 동시에 온라 인 골프 커뮤니티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64부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결과를 도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 었다. [결과] 첫째, 골프웨어 렌탈서비스에 대한 소비가치는 만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 웨어 렌탈서비스에 대한 소비가치는 지속이용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웨어 렌탈서비스에 대한 만족은 지속이용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신규골프인구에게 있어 골프웨어 렌탈서비스는 실용적이면서도 자신의 개성을 드러낼 수 있는 충분한 가치가 있는 서비스로 인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지속적인 이 용이 예상되는 만큼 렌탈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서비스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근거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측정모형의 타당도 검증
4. 자료처리방법
결과
1. 상관관계분석
2.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
3. 가설검증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