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에 관한 연구 +

원문정보

A Study on Lee Eun-joo’s Sanjo Dance Geumseonmu +

임윤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esthetics inherent in Lee Eun-joo’s Sanjo dance, Geumseonmu. The study utilizes literature research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oral records, and embod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umseonmu is a work that combines mind and body, which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Sanjo dance. Second, it has inherent feminist tendencies. Third, it is a traditional dance that makes good use of Korean elements. Fourth, it stands out for its artistry through the combination of various art forms. In metaphorical terms, Lee Eun-joo's Sanjo dance, Geumseonmu can be interpreted as a painting that emphasizes lines and empty space, a technique found in traditional Asian paintings. Significantly, her Sanjo dance expresses the factual aspects of external objects and the inner beauty of eternal life through dance.

한국어

본 논문은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에 관한 연구로서 <금선무>에 내재된 미의식을 살피 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 심층면담과 구술채록, 체현을 통한 관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산조춤의 대표적 특징인 정신과 육체의 결합으로 이뤄진 춤이다. 둘째, 여성주의적 성향이 내재된 춤이다. 셋째, 가장 한국적인 구성요소를 잘 활용한 전통춤이다. 넷째, 다양한 예술분야의 결합으로 예술의 완성도가 돋보이는 작품 이다.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는 동양 회화적 정신기법을 차용한 선과 여백의 미에서 생동하는 영원 생명의 움직임을 외적인 대상의 사실묘사와 내적인 아름다움을 춤으로 그려낸다는 사의를 추구하여 완성된 ‘춤으로 그린 그림’이라 하겠다.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산조와 산조춤
Ⅲ. 이은주의 생애와 예술세계
Ⅳ. 이은주 산조춤 금선무의 춤과 미의식
1. 작품의도
2. 작품내용
3. 음악
4. 의상과 소품
5. 무대소품과 무대장치
6. 춤사위
7. 무대공간구성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윤희 Lim Yunhee. 상명대학교 공연예술경영 예술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