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utline his life and Neo-Confucianism thought as the first study of a Confucianist Shimpo(心圃) MoonHyung(文炯) of Jeollanam-do Hwasun. He was born in 1882, lived through 28 years the opening period of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26 years of Japanese colonization. Also He was a disciple of IlShinJae(日新齋) JungEuirim(鄭義林) who was the literary people of Nosa(蘆沙) KiJeongjin(奇正鎭). He felt a sense of grief and responsibility as an intellectual of a ruinous country and went on his own academic path. In other words, he wanted to establish an Neo-Confucianism's order by spreading Nosahak(蘆沙學) regarding ChéngZhūxué(程朱學) as the standard of academy in Huashun, that is like a 'Seokgwa(碩果)' preserving the traditional values of Confucianism. While studying alone about various schools and the collection of works of scholars with a focus on Nosahak(蘆沙學), he debated not only Nosa School(蘆 沙學派) of Honam and Yeongnam but also the best scholars of his time- Hwaseo School(華西學派), Hanju School(寒洲學派), and writers etc. and He strived to synthesize the controversial points of Neo-Confucianism, left many writings in the process. In particular, He read the Nosajip(蘆沙集) and wrote the Nosajipjeolyo(蘆沙集節要) edited important parts in.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that he tried to inherit and develop the scholarly lineage of Nosa(蘆沙) and his teacher JungEuirim(鄭義林) as a member of the Nosa School(蘆沙學 派). Unfortunately, Nosajipjeolyo(蘆沙集節要) has not been handed down so far, so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contents directly. In his later years, he organized Mungagye (聞可契) in Hwasun to promote the training of younger students and the succession of the Nosa school, which has been continued by younger students until the early 21st century. In other words, he was the best philosopher in Honam who practiced Hohak(好學) centering on the Tao of Confucianism while looking at the reality that Neo-Confucianism was disappearing. In this paper, I looked at an overview of his life and his scholarly interests and achievements on Neo-Confucianism. Through subsequent research on him, I would like to study deeper into the issue of Shim(心) been an important concept in respect of Neo-Confucianism, his attitude toward the Nosa School(蘆沙學派)'s sentence theory in respect of literature, and his interaction with the schools in respect of thought. When these discussions are synthesized, his place in the history of Honam Confucianism and the topographical map of modern Confucianism in Huashun will be redefined.
한국어
본 논문은 전남 화순의 유학자 心圃文炯(1882~1936)에 관한 첫 연구로서 그의 삶과 성리학적 사유를 개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형은 1882년에 태어나 구한말 개항기 28년과 일제강점기하에서 26년을 살았던 인물로 蘆 沙奇正鎭의 문인 日新齋鄭義林의 직전제자이다. 그는 정주학을 자기 학문 의 표준으로 삼아 화순지역에 노사학의 씨앗을 뿌리고 성리학적 질서를 뿌 리내려 유학적 전통 가치를 지키려고 했던 ‘碩果’와 같은 존재였다. 문형은 노사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학파와 학자들의 문집을 독학하고, 호 남과 영남의 노사학파뿐만 아니라 화서학파·한주학파·문장가 등 당대 최고 의 석학들과 토론하여 성리학적 논쟁점을 종합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그 과 정에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 특히 문형은 『蘆沙集』을 읽고 중요한 부분을 편집한 『蘆沙集節要』라는 책을 저술했는데, 이를 통해 문형이 노사학파의 일원으로서 노사와 스승 정의림의 학맥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고자 노력했음 을 알 수 있다. 아쉬운 것은 『노사집절요』 서문만 남아있을 뿐 현재까지 그 저술을 직접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는 말년에 <聞可契>를 조직하여 화순지역을 중심으로 후학양성과 노사학파의 계승에 힘썼으며, 이것은 후 학들에 의해 21세기 초반까지 이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문형의 삶과 성리학에 대한 그의 학문적 관심과 성과를 개 괄적으로 살펴보았다. 필자는 문형에 관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성리학적 측 면에서 중요한 개념인 마음[心]의 문제, 문학적 측면에서 노사학파의 문장론 에 대한 그의 태도, 사상적 측면에서 학파 간 교유 관계 등을 심도 있게 다루 어 보려고 한다. 이러한 논의가 종합적으로 이루어질 때, 호남 유학사에서 문 형의 위치와 화순 근대유학의 지형도를 새롭게 그릴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화순 ‘碩果’로서의 삶
1. 가계와 유년기
2. 수학과 저술 강학기
Ⅲ. 학술 및 강학 활동
1. 독서 후 感懷詩
2. 성리학 연구 및 강설
Ⅳ. 노사학 옹호와 세태 비판
1. 성리설 논쟁에 대한 견해
2. 당대 학문 경향 비판
Ⅴ. 후학들의 평가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