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손와(損窩) 최석항(崔錫恒)의 문학론과 창작의 실제

원문정보

A study on Sonwa(損窩) Choi, Seokhang(崔錫恒)'s literature theory and literary creation

권진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focuses on Sonwa(損窩) Choi, seokhang(崔錫恒, 1654-1724) in the late Joseon Dynasty. After examining his theory of literature, looked into the reality of literary creation. There are few data to confirm his literary theories. However, we can check through materials such as Hoeunjipseo(壺隱集序), Jehonggunchikbonraerokhu(題 洪君則蓬萊錄後), Jejujangyuokgyejipseo(題朱長孺玉溪集序). The theory of poetry can be divided into theory of creation, theory of utility, and theory of criticism. He acknowledged the two creation methods, the natural style of cheongi(天 機) and the refined form of ingong(人工), as meaningful creation theories on the same level. Also, he asserted the theory of realism creation. Regarding the works whe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ubject is important, he took the aspect of realism as a key indicator. He stated a theory of utility. It is not a linear theory of utility that examines the author's personality through the thoughts and expressions revealed on the surface of the work, but a multi-layered theory of utility that examines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 of the author who created such thoughts and expressions in a complex way. On the other hand, the literary theory is as follows. While criticizing the new and ingenious sentences of Jangja(莊子) and Samacheon(司馬遷), which were admired by the jeonhuchilja(前後七子), he presented the six confucian classics that were plain and substantial as canon of prose. Among the works of poetry he created, attention was paid to impromptu poems written in the process of traveling or sightseeing. He was faithful to the realism by expressing the scene and image of the moment, while embodied various sights and situation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travel or sightseeing in a literary way.

한국어

이 논문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소론(少論) 계열 인물인 손와(損窩) 최석항(崔錫恒, 1654-1724)을 대상으로, 그의 시론(詩論) 및 문론(文論)을 위시한 문학론을 고찰한 다음 문학 창작의 실제를 살펴본 글이다. 최석항이 남긴 글 가운데 그의 문학론을 읽어 낼 수 있는 자료가 매 우 제한적이긴 하지만, 「호은집서(壺隱集序)」, 「제홍군칙봉래록후(題洪君 則蓬萊錄後)」, 「제주장유옥계집서(題朱長孺玉溪集序)」 등 몇 개의 자료 를 통해 그 일단을 확인할 수 있다. 시론(詩論)에 있어서는 창작론과 효 용론, 그리고 비평론으로 나눌 수 있다. 최석항은 자연스러운 풍격의 천 기(天機)와 정련된 체재의 인공(人工), 이 두 가지 창작 방법을 우열의 대 상으로 간주하지 않고 동일한 층위에서 각각의 유의미한 창작론으로 인 정하였다. 또한 그는 시어(詩語)의 핍진한 묘사에 주목한 사실(寫實)의 창작론을 주장하였다. 대상의 핍진한 묘사가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작품에 대해서 사실의 측면을 얼마만큼 문학적으로 잘 형상화했는지를 핵심적인 지표로 삼았다. 아울러 그는 시를 통해 작가의 성정과 됨됨이 를 살피는 효용론을 개진하였는데, 그 내용은 시 작품 겉으로 드러나는 심사나 이에 수반하는 표현을 통해 작자의 성정을 살피는 단선적인 효 용론이 아니라 그러한 심사와 표현을 만들어 낸 작자의 성정과 됨됨이 를 복합적으로 살피는 중층적인 효용론이었다. 끝으로 시를 평가함에 있어선 작가의 삶과 됨됨이와는 무관하게 문예인으로서 창작한 시 문학 만을 평가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작가와 작품의 관계성에 대해 시 자체 만을 가지고 시를 평가해야 한다는[以詩觀詩] 비평론을 개진하였다. 한 편 문론(文論)에 있어서는 전후칠자(前後七子)가 추숭했던 새롭고 기발 한 장자(莊子)와 사마천(司馬遷)의 문장을 비판하면서 문장의 전범으로 평이하고 실질이 있는 육경(六經)을 제시하였다. 최석항의 문학론 가운데 사실(寫實)의 창작론에 주목하여 그가 실제로 창작한 한시 작품과 함께 논의하였다. 그는 대상의 핍진한 묘사가 주요 한 요소로 작용하는 작품에 대해서 사실의 측면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 는 것을 강조하였다. 일반적으로 여정이나 유람의 과정에서 창작하는 즉흥시(卽興詩)는 대상의 핍진한 묘사가 주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최석항이 창작한 한시 작품들 가운데 여정이나 유람의 과정에서 지은 즉흥시에 주목하였다. 그는 여정이나 유람의 과정에서 만나는 여러 가지 경물과 상황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면서 그 찰나의 장면과 심상을 핍진하게 표현하여 사실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최석항(崔錫恒)의 문학론
Ⅲ. 문학론에 기초한 창작의 실제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진옥 Kwon, jinok.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