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article, I discuss the iconography of Vairocana Multi-Buddhas from the first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which consist of Tri-Kaya Buddhas(三 身佛), Bhaisajyaguru and Amitabha Buddha. Specifically, I focus on the Vairocana Five Buddhas of Geumsansa Temple (金山寺), Gimje, Vairocana Three Buddhas of Gwisinsa Temple (歸信寺), Gimje, and Vairocana three Buddhas of Seonunsa Temple (禪雲寺), Gochang. Those three groups of Buddha statues are stylistically similar to each other. The stylistic analysis indicates that this iconography was first originated from Geumsansa Temple's Vairocana group, which is the earliest among those three cases. This is also demonstrated by the monks who participated in the reconstruction of Geumsansa Temple. Those monks from Geumsansa Temple also participated in the reconstruction of Gwisinsa and Seonunsa Temples. This shows that the Vairocana Three Buddhas in Geumsansa functioned as the model for the similar images in Gwisinsa and Seonunsa Temples. In the second part of the article, I analyze this unique iconography in relation to the rituals. Those three temples' statues were produced during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and enshrined in the main Buddha halls. Since the Buddha statues were the object of the offering ritual, there must have been a close relation between the iconography and the ritual.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the offering rituals performed in the main Buddha hall required the image of a Buddha who encompasses all times and directions. Since the Vairocana Three Buddhas also represents such a Buddha, it is likely that the monks of Geumsansa Temple intentionally chose this iconography for the ritual practices. Still remains a question why the imagery of the Vairocana Three Buddhas, which was more common during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was revived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Based on the documentary evidence from Geumsansa Temple, I argue that the Vairocana Three Buddha statues were first devoted to Geumsansa in 1460 by King Sejoe, and that the temple’s monks followed this iconography when they rebuilt the main Buddha hall later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한국어
본고는 17세기 전반에 조성되었던 <금산사 비로자나 오불상>, <귀신사 비로자나 삼세불좌상>, <선운사 비로자나 삼세불좌상>의 조성 의의를 <금산사 비로자나 오불좌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필자는 <금산사 비로자나 오불좌상>과<귀신사 비로자나 삼세불좌상>, <선운사 비로자나 삼세불좌상>의 양식을 비교하여 세 불상이 양식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금산사 비로자나 오불좌상>의 조성 연대가 17세기 초반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이보다 늦게 조성된 <귀신사 비로자나 삼세불좌상>과 <선운사 비로자나 삼세불좌상>이 <금산사 비로자나 오불좌상>의 영향을 받아 조성되었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금산사가 나머지 두 사찰에 영향을 주어 비로자나 삼세불상이 조성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조각승과 재건역에 참여한 승려를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 금산사와 관련이 깊은 조각승과 승려들이 귀신사와 선운사 재건역에 영향을 준 사실 확인할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면, 금산사의 영향으로 인해 귀신사와 선운사에 비로자나삼세불좌상이 조성되었다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도상 선택의 배경을 의례적 관점에서 해석해 보았다. 세 사찰의 불상이 모두 주불전에 봉안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17세기 주불전 내부에서 설행되었던 일상 공양 의례가 도상 선택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일상 공양의례에서 요구되는 존상 구성을 파악한 결과 일체제불이 요구되었다는 사실을 알수 있었다. <금산사 비로자나 오불좌상>, <귀신사 비로자나 삼세불좌상>, <선운사 비로자나 삼세불좌상> 역시 일체제불을 의미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조성 주체가 의례적 목적을 고려하여 이 존상 구성을 택했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로 14-15세기에 주로 조성되었던 비로자나 삼세불 구성을 어떤 이유로 17세기 초에 조성했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필자는 금산사의 문헌기록을 바탕으로 1460년 세조에 의해 금산사가 중창될 때 비로자나 오불상이 조성되었고, 임진왜란 때 병화로 소실되자 금산사 승려들이 재건하면서 이 존상을 복원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후 인근 사찰이었던 귀신사와 선운사에서 동일한 의미, 의례적 기능을 가진 주불전 존상이 요구되었을 때, 금산사 승려들이 재건 불사에 참여하며 그들에게 익숙한 비로자나 다불 존상을 두 사찰에 조성했던것으로 결론지었다.
목차
Ⅱ. <금산사 비로자나 오불좌상>의 제작 연대와 조성 의의
1. 제작 연대
2. 조성 의의
Ⅲ. 도상 선택의 배경
1. 일상 공양 의례와 주불전 존상 구성
2. 도상 선택의 배경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